청와대 홈페이지 '대통령과-' 조회수 평균 7천회 달해


 
"좋은 보고서를 받을 대마다 혼자 읽기가 너무 아까운 보고서라는 생각을 합니다. 과감하게 업무내용을 공개하고 공유했으면 합니다. 공직사회에서 오고가는 보고서들에는 공무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는 과정이 다 담겨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2004년 9월 30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한 말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 보고서 공개를 지시한 이후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려진 `대통령과 함께 읽은 보고서`의 조회수가 평균 7천회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18일 `청와대 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청와대 홈페이지에 게재된 33개의 대통령 보고서 가운데 9개는 조회수가 1만회를 넘겼으며 `신용불량자 대책회의` 보고서의 경우에는 2만727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청와대 홈페이지의 다른 게시물보다 네티즌들로부터 높은 호응도를 보이고 있는 대통령 보고서의 공개는 `정보 공개`에 대한 노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는 게 `청와대 브리핑`의 설명이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초 "보고서 공개는 대통령과 참모들이 일하는 모습, 관심사와 다루고 있는 일들을 보여줄 수 있고 대통령이 읽는 보고서를 전문가와 국민들이 함께 읽는다는 참여의 만족감, 친근감을 주자는 것"이라며 대통령 보고서 공개의 당위성을 거듭 설명했다.

이와 함께 노 대통령은 보고서의 단순한 공개를 넘어 "전문가가 봐야 알 수 있는 수치의 나열은 투명성이 아니다. 보통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게, 중학생 정도의 보통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제대로` 알리는 데도 역점을 둘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지난달 11일부터 매주 한차례 김영주(金榮柱) 경제정책수석이 주재하고 정책생산부서 및 홍보부서 비서관이 참여하는 `보고서심의회의`를 개최, 보고서 공개여부 등을 심의하고 있다.

보고서심의회의 간사인 이현재(李賢在) 산업정책비서관은 `청와대 브리핑`과의 인터뷰에서 "보고서 공개기준을 세분화하고 공개방식도 다양화할 방침"이라며 "국민들에게 더많은 만족과 친근감을 주고 정책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개시스템의 기본틀을 개선.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부터 보고서를 공개하기 시작해 18일 현재 총 33건의 보고서가 올라와 있다. 청와대측에 따르면 평균 조회수는 7000회이며, 조회수 1만회가 넘는 보고서도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요약`` ``소득 2만불 시대 실현을 위한 신일자리 창출 전략`` 등 9건이나 된다.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보고서는 2만727회의 ``신용불량자 대책회의`` 보고서로 신용불량자 대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보여줬다.

``대통령과 함께 읽는 보고서``는 초기 주로 대통령의 지시나 부서간 협의를 통해 공개가 이뤄지다가 지난 3월 보고서 공개의 기본 방향을 확정하고 보고서의 공개 여부, 공개방안 등을 심의하는 보고서 심의회를 신설했다. 보고서 심의회는 매주 한차례 정례회의를 열고 공개 대상보고서를 심의한다. 경제정책 수석이 회의를 주재하며 총무, 국정기록, 국정홍보, 국정과제, 경제정책, 사회정책, 산업정책 비서관이 참여한다.

대통령 보고서들은 대부분 ``경제 활성화와 양극화 해소를 통한 선진한국 건설``이라는 참여정부 정책목표를 위한 전략을 담고 있다. ``통신시장 공익성과 공정경쟁에 관한 보고`` ``독일 중소기업 인수관련 검토 보고서`` ``보육 육아교육 실태조사 결과 보고``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수출 통계 등 제도 개선 보고서`` ``임대주택정책 개편 방안``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과제`` 등이 그 예다.

청와대 홈페이지에서 보고서를 클릭하면 보고서 공개배경 및 취지, 보고서 요약 등이 간단하게 나오고 10페이지 미만의 상세 보고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돼 있다. 상세보고서라도 꼭 필요한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돼 있고 보통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게 청와대측 설명이다.

보고서 심의회 간사를 맡고 있는 이현재 산업정책비서관은 "무엇보다 대통령이 읽는 정책보고서를 능동적으로 공개해 국민과 함께 공유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공개기준을 세분화하고 공개방식을 다양화해 국민들의 정책에 대한 이해와 신뢰도를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서룡 기자<sljung99@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