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사건 때 각국에 포고문 일제 침략만행 규탄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국권회복과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한계(韓溪)이승희(1847.2.19 ~ 1916.2.27) 선생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발표했다.

선생은 1847년 경북 성주에서 영남 주리론의 대통을 이은 한주 이진상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자 곽종석 등 문인들과 함께 포고문을 각국 공사관에 보내 일제의 침략만행을 규탄하고 열강의 각성을 촉구했다.

특히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을사5적을 처단하고 조약을 파기할 것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리고, 주한 일본군사령부에 일본의 배신과 침략행위를 규탄하는 글을 보낸 사건으로 인해 대구경찰서에 피체되어 옥고를 겪고 이듬해 4월 출옥했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자신의 향리인 경북 성주에서 국채보상단연회를 조직, 회장이 되고, 각지에 통문을 보내 담배를 끊고 국채를 보상해 국권을 되찾자고 호소했였다.

또한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개최된다는 소식을 듣고 여기에 편지를 보내 일본의 침략 만행을 낱낱이 폭로하고, 헤이그 특사사건으로 인해 광무황제(고종)가 강제 폐위되자 그 부당성을 일본 정부에 강력히 항의하기도 했다.

1908년 조국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이 되자 블라디보스톡으로 이주하여 만주와 노령의 국경지대인 밀산현 봉밀산에 황무지를 구입하고 100여 가구의 한인동포를 이주시켜 독립운동 기지를 개척하여 한흥동이라 하였다. 그리고 한민학교를 세워 민족교육을 실시하며 독립군 양성의 기반을 닦았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한인공교회를 창립하고, 상해의 박은식 등과 연락하여 언론기관의 설립과 국사교육을 논의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1916년 2월 27일, 70세를 일기로 중국 봉천성(현 심양) 북문 밖에서 광복의 날을 보지 못한 채 망국의 한을 품고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