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노동자 2명 가스 질식사 파문 확산

연초부터 대우조선해양에서 가스에 질식해 2명의 노동자가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번 사망 사건 전에도 지난해 1월 노동자 1명이 사망한 뒤 종합적인 ‘가스질식사고 재발방지 대책’을 회사와 함께 합의한 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년이 되도록 지켜지지 않아 사고가 났으며 사측이 평상시에도 안전관리에 소홀하다고 노조는 주장하고 있다.

결국 이번 사건은 사측의 안전불감증에 의한 인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기본적 안전관리 소홀에 노사간 합의 불이행

새해 연휴 이틀째인 지난 2일, 작업 중이던 대우조선해양 노동자 2명이 가스에 질식해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사고가 발생한 시각은 이날 오전 9시 20분께. 거제도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 중이던 선박 파이트 모터 체크 작업을 위해 탱크에 들어갔던 협력업체 노동자 박모(남, 28세) 씨와 이모(남, 53세) 씨가 아르곤 가스에 질식해 목숨을 잃었다. 함께 작업을 한 윤모 씨는 다행히 목숨은 건졌으나 호흡곤란으로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이번 사고를 포함해 최근 3년 동안 대우조선에서는 가스 질식으로 인한 중대재해가 3건이나 발생했다. 이로 인해 노동자 4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에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과 대우조선노조(노조)는 이번 사고를 두고 사업주가 가스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아 발생한 ‘인재’라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아르곤 가스는 누출되면 즉시 질식할 수 있는 위험물질”이라며 “지난해 1월 15일 아르곤 가스로 노동자 1명이 사망한 뒤 종합적인 ‘가스질식사고 재발방지 대책’을 회사와 함께 합의한 바 있다”고 말했다.

노조가 밝힌 주요 합의 내용은 “아르곤가스 호스 끝단부에 니플(차단 밸브)을 만들어 부착하고 퍼징용 호스를 별도로 만들어 사용한다. 안전작업이 가능토록 표준화 한다” 등이었다.

하지만 노사간 합의사항은 지켜지지 않았다.

노조는 “사업주는 1년이 다되도록 밀폐 공간에서 아르곤가스 질식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핵심 안전조치인 ‘아르곤 가스 호스 지관에 가스 차단 밸브 설치한다’는 합의를 이행하지 않았고, 결국 2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갔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노조는 사업주가 평상시에도 안전관리에 소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7일로 사고가 발생한 탱크 내부 아르곤 가스 용접 작업을 끝내고도 한 달이 넘게 아르곤 용접 설비를 철거하지 않는 등 위험설비를 방치한 것을 예로 들었다.

결국 기본적인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고, 가스차단밸브 설치 등 노사 간 합의사항을 지키지 않은 회사에 이번 사망 사건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



“자율안전관리 정책 하루 빨리 폐기해야 할 제도”

이와함께 노조는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자율안전관리제도’가 이번 죽음을 비롯한 산재사고를 불러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우조선에서 가스질식 사고가 연례행사처럼 되풀이 돼 왔는데도 감독 책임이 있는 노동부가 ‘자율안전관리’를 들먹이며 사실상 사업장 안전 감독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노조는 이번 참사가 사측이 합의사항은 물론 기본적인 안전 조치조차 취하지 않아 발생한 ‘인재’로 노동자의 안전과 생명을 도외시한 채 작업 진척만을 독려해온 사업주의 안전불감증에 그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금속노조는 지난 5일 성명을 내고 이번 사고와 관련해 노사 간 안전보건 합의사항을 지키지 않은 책임을 물어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을 구속하고, 조선업 자율안전관리제도를 즉각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자율안전관리제도는 노사가 직접 자율안전수준을 평가하고, 우수 사업장의 경우 노동부의 지도 감독을 면제해 주는 제도다. 그러나 사실상 노동부의 지도감독을 면제받고자 평가에서 노조를 배제시킨 채 사측이 임의대로 점수를 높이는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모 중공업의 경우 사측이 1000점 만점 중 918점이라고 발표했으나 금속노조가 평가를 해보니 522점이었고 심지어 노동부 평가에서도 876점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조선업은 전체 사업체와 비교해 재해율이 2.4배나 높다”며 “하지만 정부가 조선업 자율안전관리 정책을 계속 추진하고 있어 산재발생이 끊이질 않고 있어 하루 빨리 폐기돼야 할 제도”라고 주장했다.

씨티증권 매각 주관사 선정 의혹 제기

한편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매각투쟁에 나섰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지난달 29일 거제 조선소 내에서 전 조합원이 참석해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날 결의대회는 지난달 14일 매각투쟁 돌입 및, 21~22일 쟁의행위 투표 가결, 23일 노조 간부들의 서울 산업은행 항의집회에 이어지는 것이다.

특히 이번 결의대회는 산업은행이 지난달 24일 대우조선해양 매각 주간사로 산은 M&A실과 씨티 글로벌 마켓 증권을 공동 선정했다고 발표한 직후 열렸다. 특히 씨티증권이 매각 주간사로 선정된데 대한 의혹을 제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미국계 금융투자회사인 씨티증권은 대우인터내셔널, 외환은행, 대우건설 등의 매각 주간사로 참여하면서 주간한 매각건마다 문제를 일으켜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우건설의 경우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인수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채무를 도입한 것과 풋백옵션이라는 이면계약으로 현재 재매각이라는 사태를 불러 일으켰다. 또 외환은행 매각 논란이 불거진 지난 2006년에도 외환카드 주가조작과 관련한 의혹을 받으면서 검찰의 조사를 받은 적이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노조가 문제를 삼는 부분은 매각 주체인 산은의 수장인 민 행장이 과거 씨티그룹(씨티은행)에서 근무를 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배경은 자칫 매각 절차의 투명성과 외국계 회사로의 매각 반대, 고용 보장 등 노조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노조는 “매각 주간사는 대우조선해양의 조선기술과 정보유출 및 군사기밀을 파악할 수 있고, 민 행장의 과거 경력 및 인맥, 대우건설 매각 사례를 놓고 볼 때 졸속 매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면서 “씨티증권이 매각 주간사로서의 자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에 대해 세밀하고 다각적으로 분석해 바람직한 매각이 진행될 수 있도록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백순환 부위원장을 비롯한 노조 대위원은 지난달 24일 국회를 방문해 정무위와 재경위 등 4개 정당을 찾아 조합원 1195명이 참여해 모금된 정치후원금 1억5580만원을 각각 전달했다.

정치후원금은 지난달 14일부터 바람직한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한 사업으로 진행됐다.

백 부위원장은 “국민의 혈세가 들어간 대우조선해양은 그 주인이 국민이므로 매각 진행 또한 투명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면서 “국민을 위해 국회의원이 책임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강성철 기자 steelnews@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