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진단 연속인터뷰> ‘섬진강 시인’ 김용택-1

한국 사회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특히 국가보안법 사범 증가, 노동 탄압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사회적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신공안정국’으로 일컬어지는 공안통치에서 파생된 숱한 문제들이 여전히 한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위클리서울>은 2007년부터 국가보안법, 남북관계, 노동 인권, 생태 환경 등의 문제 개선을 위해 각계 인사들과 연속 인터뷰를 진행해왔다. 그동안 강정구 동국대 교수, 재독학자 송두율 교수, ‘야생초 편지’의 황대권 씨, 재야인사 김낙중 선생, 고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 홍세화 한겨레 기획위원, 김상봉 전남대 교수, 김수행 성공회대 석좌교수,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 독립영화 ‘송환’의 김동원 감독,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강기갑 민노당 대표, 노회찬 심상정 진보신당 대표, 정세현․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김우종 덕성여대 명예교수, 홍윤기 동국대 교수, 강내희 중앙대 교수, 노중기 한신대 교수, ‘민족일보’ 고 조용수 사장의 친동생 조용준 선생, 박원순 변호사, 장석춘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남윤인순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박노자 오슬로대학 한국학과 교수, 정지영 감독, 이상돈 중앙대 교수, 손호철 서강대 교수, 이해영 한신대 교수,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 고유환 동국대 교수, 이성백 서울시립대 교수, 배우 문성근 씨, 고은 시인, 이한열 열사 모친 배은심 여사, 박창근 관동대 교수, 배우 권해효 씨, 김기식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배우 최종원 씨 등 120여 명의 사회 각계 인사들과 인터뷰를 진행해왔다. 이번호에는 ‘섬진강 시인’으로 널리 알려진 김용택 시인과 만남의 자리를 만들었다.


#섬진강 시인 김용택

“나의 글은 내가 살아온 삶의 껍데기다. 삶을 그대로 쓰는 이가 어디 있겠는가. 나는 그 삶이 좋았다. 그것을 글로 옮겼을 뿐이다. 삶에 비하면 시는 하잘 것 없는 것이다.”

“살아 있는 시를 쓰기 위해서는, 시가 살아 있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 내가 한가하게 느티나무 아래에 앉아서 시 쓴 것 아니다. 젊어서는 시골서 농사짓고 교사생활 하면서 썼고, 전주에 살면서는 환경운동으로 뛰어다니면서 쓰고, 지금은 학교 문제를 비롯해서 여러 비환경적인 권력과 싸우면서 쓴다.”

산문집 ‘오래된 마을’(2009)에서 김용택 시인은 이렇게 썼다. 평소 사회·정치적 발언을 하지 않기로 유명한 그는 최근 4대강 사업에 대한 비판을 늘어놓을 수밖에 없는 까닭에 대해 “시인들은 원래 생태주의자여서 자연이 파괴되고 있다는 사실을 견딜 수 없다”며 “4대강 현장에서 수 천 년 동안 스스로 만들어 놓은 생태계가 일시에 파괴되는 것을 보며 가만히 앉아 구경할 시인들은 없다”고 언성을 높였다.

시인은 “강을 살리려면 작은 하천부터 살려야한다”며 “생활 폐수 등 인간이 생활하면서 나온 찌꺼기, 쓰레기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사업을 벌여야 한다. 마을단위, 면단위로 하수처리 시설을 갖춰야한다”고 강조했다.

시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4대강 사업은 분명 생태계를 말살하는 사업”이라며 “생명과 자연을 파괴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것이며, 인간성이 파괴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용택 시인과의 만남은 조계사 인근 조용한 찻집에서 이뤄졌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이다.



- 2년여 전 교직을 떠났다. 근황이 궁금하다.

▲ 강연을 주로 다닌다. 한 달에 15번 내지 20번 정도 다닌다. 집이 전주다. 나머지 시간은 주로 전주에서 글도 쓰고 책도 읽고 영화도 본다,

- ‘섬진강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섬진강이 어떤 강인지 간략히 설명하자면.

▲ 섬진강은 600리 정도 되는 작은 강이다. 전라북도 신암리에서 발원해 진안부터 흐른다. 임실, 순창을 거쳐 전라남도 대강, 구례를 지나 하동으로 간다. 강이 큰 도시를 거느린 것도 아니고 넓은 들을 거느린 것도 아니다. 좁은 협곡으로 흘러간다. 강물이 얕고 멀리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가까이 가서야 보인다. 사람들이 늘 몸을 담글 수 있어 사람들과 가까이에 있는 강이다.

섬진강은 아직도 살아 있다. 강이 살아 있다는 것은 강이 자정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얘기다. 강을 정화시키는 데에는 몇 가지 구성요인이 있다. 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강굽이다.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강이 긴 여정 끝에 쉬는 곳이 바로 굽이다. 강이 굽이에 부딪혀서 부서져야 한다. 부딪히면서 강물이 뒤로 물러나서 쉰다. 그러면서 자기가 가지고 있던 떼를 바닥에 내린다. 그러면 다슬기 등이 그것을 먹어 치우면서 정화된다.

여울에서도 강물이 부서지며 공중에 떠있는 산소를 안고 내려간다. 여울에서 깊이 떨어지다 보면 웅덩이나 소(沼)가 생긴다. 강물은 거기서도 유유자적하면서 쉰다. 때를 가라앉히면 생명체들이 때를 먹어치운다. 이외에도 모래와 자갈밭을 지나면서 강물은 정화가 된다. 일종의 필터링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섬진강은 이런 부분이 잘 형성돼 있다. 다른 강과 달리 상류 쪽에 오염원이 많고 하류로 갈수록 맑다. 이처럼 섬진강은 아직도 살아 있어서 정부에서 강 정비 사업을 이유로 손을 댈 수 없는 것이다. 물론 과거에 비하면 많이 죽은 편이다. 제가 어렸을 때는 전북까지 은어가 올라왔는데, 요즘은 그런 모습을 볼 수 없다.

- 비록 섬진강이 4대강 사업에 포함되진 않지만, 4대강 사업이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는 않을 것 같다.

▲ 우리나라 강들이 사실 죽어 있다는 것은 인정한다. 사람들이 강물을 죽였기 때문에 사람만이 강물을 살릴 수 있다. 그런데 지금 4대강 사업 내용들을 보면 생태계를 모조리 파괴시키는 것들이다. 강을 건드린다는 건 상당한 신중을 요한다. 오랜 연구와 토론과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그 후에 해도 늦지 않다. 그런데 2, 3년 동안 사업 끝내고 강을 살리겠다니, 과연 그 강이 살아나느냐 말이다.

영산강 하나만이라도 이명박 정권에서 천천히 오랫동안 연구를 통해 인근 주민들과 국민들 의견을 모아 정비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너무 모든 사업을 성급하게 밀어붙였다. 왜 2년 안에 사업을 끝내야 하는지 아무도 모른다.

- 4대강 공사 현장에 가 본 적이 있다고 들었다. 느낀 점을 밝히자면.

▲ 가슴이 아팠다. 엉터리로 강을 살리려는 욕심이 보였다. 현장에 가서 보면 강 가운데로 둑을 쌓아서 굴삭기와 트럭들이 지나다닌다. 강 스스로 수 천 년 동안 만들어 놓은 생태계를 일시에 파괴한다는 것 자체에 정말 가슴이 미어졌다.

강에 모래밭이 형성되려면 최소 50~60년은 걸리는데 모래밭도 일시에 사라졌다. 4대강 사업 현장에 가본 사람들이라면, 인간들이 이러면 안 된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었을 것이다. 공사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도 정말 이러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 정부 사업의 어떤 부분이 문제이고,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나.

▲ 시골 사람들도 어떤 문제 하나를 두고 찬반이 나뉘어서 흩어지기도 하고 모이기도 한다. 하나의 일을 놓고 일심 단결할 수 있는 토양이 조성된 후에 일을 해야지, 한쪽은 찬성하고 한쪽은 반대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사회 분열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에서 일정 부분 방향 수정을 해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토론을 통해 정말 강물을 살릴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 설득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세상을 살다보면 자연에 상처를 입히게 돼 있다. 어쩔 수 없다. 하지만 강물을 저대로 두면 절대 못 살린다. 사람이 강물을 죽였기 때문에 어떻게 죽였는지 거슬러 올라가면 답이 나온다. 하천 살리기 자체도 생태계를 파괴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에 비해 지금 4대강 사업은 무모해 보인다.

4대강 사업에 앞서 작은 하천들을 살려야 한다는 점은 자명하다. 생활 폐수 등 인간이 생활하면서 나온 찌꺼기, 쓰레기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사업을 벌여야 한다. 마을단위, 면단위로 하수처리 시설을 갖춰야 한다.

일본의 시즈오카라는 도시와 마을에는 깨끗한 물이 흐른다. 마을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정화해서 도랑으로 보내기 때문이다. 근원이 깨끗해야 아랫물이 맑은 것이다, 지금 4대강 사업은 윗물이 이미 더러운데 아랫물만 맑게 하려는 모순적인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강 살리기 사업을 반대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윗물부터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게 급선무다.

- 시인들에게 있어 생태환경이란 어떤 의미가 있나.

▲ 시인들은 생태적으로 타고난 사람이라고 보면 된다. 중국의 시경이나 고전 문학들이 보여주듯 시인들은 생태적 자연주의자이다. 자연을 보고 노래한 시들이 태반이다. 자연이라는 게 생명을 가지고 있는 삶 그 자체이기에 시인들은 이에게 경외심을 가진다.

자연 속에는 우리 인간들이 알 수 없는, 과학적·철학적으로 파악하는 어떤 논리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무궁무진한 것들이 포함돼 있다. 시인들은 살아있는 저 자연 속에서 삶의 교훈과 예술적인 것들을 가져온다.

그러니, 자연이 파괴되고 있다는 사실에 시인들은 견딜 수 없는 것이다. 소외당하고 억압당하는 것들에게 시는 눈길을 줄 수밖에 없다. 윤동주의 서시에서 ‘죽어 가는 것들을 사랑해야지’라는 말은 우리 시인들에게 주는 가장 큰 메시지다. 작고 하찮은 것들, 별 볼일 없어 보이는 것들에 시선이 가게 된다. 어떤 의미에서 자연이 가장 약하다. 저항도 못하고 묵묵히 당하고만 있어서다.

다른 예술도 마찬가지다. 사실 학문도 그렇다. 철학, 과학도 자연과 떨어져서 절대 살 수 없다. 모든 게 자연에게서 온다. 우리 인간들은 자연에 의지해서 자연의 일부를 뜯어먹고 산다. 고로 자연을 파괴하는 것은 자신들의 근본인 삶의 원천을 파괴하는 것이다. 생명과 자연을 파괴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것이며, 인간성이 파괴되는 것이다. <위의 기사로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