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환 선생님의 동학농민혁명 이야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은 그의 저서 『목민심서』 병전에 군정에 대한 당시 실상을 다음과 같은 시로 표현했습니다.

애절양(생식기 자름을 슬퍼함.)

갈맡 마을 젊은 아낙의 곡소리 기나긴데
현문(현감이 근무하는 관아의 문) 향해 곡하고, 푸른 하늘 울부짖누나.
남편이 출정 나가 돌아오지 않음은 오히려 있을 법 하건마는
예부터 사내가 생식기 잘랐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오.
시아버지 돌아가셔 이미 상복을 입은데다,
아이는 아직 배냇물도 씻지 않았는데,
세 사람의 이름이 군적에 올랐다나요.
처음으로 호랑이 같은 문지기에게 가서 하소연해 보려 함에
이정(지금의 이장 정도되는 직위)이 포효하며,
마굿간에서 소를 끌고 나갔지요.
칼을 갈아 방에 드니, 피가 자리에 흥건한데
아이 낳아 곤궁을 만났다고 스스로 한탄하던걸요.
더운 방에서 궁형을 행하는 것이 어찌 허물이 있지 않으리요.
민나라 사람들이 자식을 거세했던 일도 진실로 또한 슬픈 일이라오.
산 것이 살고자 하는 이치는 하늘이 부여해 준 것 이라서
하늘의 도는 사내를 만들고 땅은 계집을 만들거늘
소와 돼지 거세함도 오히려 슬프다고 말할진대
하물며 백성들이 자손 이을 것을 생각함에서랴.
세도 있는 집에서는 일년 내내 풍악을 울리지만
쌀 한 톨, 비단 한 조각 축나는 일 없다네.
우리 백성들 똑같아야 하거늘 어찌해서 가난하고 부유한가?
나그네는 창가에서 거듭 시구편을 읊조린다오.

다산은 이 시를 쓰게 된 동기를 『목민심서』에서 다음과 적고 있습니다.
“이것은 1803년 가을 내가 강진에 있으면서 지은 시이다. 갈대밭에 사는 한 백성이 아이를 낳은 지 사흘만에 군적에 등록되고 이정이 소를 빼앗아가니 그 사람이 칼을 뽑아 생식기를 스스로 베면서 하는 말이 ‘내가 이것 때문에 곤액을 당한다`하였다. 그 아내가 생식기를 관가에 가지고 가니 피가 아직 뚝뚝 떨어지는데 울며 하소연했으나 문지기가 막아버렸다. 내가 듣고 이 시를 지었다."
마지막으로 환곡이란, 재난을 당한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해 관아의 곡식을 대출하였다가 추수할 때 거두어들이는 제도인데 점차 고리대가 되어 관리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습니다. 환곡에서 가장 수탈을 많이 당하는 사람들은 소농과 빈농이었고, 이들은 전세와 군포의 부담까지 짊어져 3중의 고통 속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미녀를 올려야 일이 시작되고, 돈을 보내야 일이 추진되니, 돈 없고 여인 없는 사람은 어디에 기댈고(送上美女主動辦 送上錢財推着辦 無錢無女何處)." 탐관오리가 판을 치는 중국의 실정을 한탄한 노래로 과거 봉건왕조 시대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랍니다. 얼마 전 중국 최고 인민검찰원 기관지 검찰일보는 이런 탐관오리들을 쉽게 구분해낼 수 있도록 ‘탐관오리들의 여덟가지 특징`이란 보고서를 발표했답니다.
이에 따르면 탐관오리의 특징 중 첫째는 포장에 능하다(善於包裝)는 것입니다. 노동영웅. 인민대표대회 대의원 등 감투를 내세워 자신의 구린 구석을 감춘다는 것이지요. 둘째는 호색(好色)이며 셋째는 호색 결과로 아내와 도둑 및 애인을 무서워 하는 ‘세가지 두려움`이 있다는 것입니다. 아내를 무서워하는 이유로는 자신의 불륜 때문에, 도둑을 무서워하는 이유로는 숨겨 놓은 부정한 재물로 인해, 그리고 애인은 자신의 치명적 약점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지 뭡니까.
넷째는 단명(短命)이랍니다. 범죄가 드러나 사형 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데다 언제 죄수가 될지 몰라 우울증에 시달리며, 심한 경우 두려움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자살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입니다.
다섯째는 종교욕과 미신입니다. 죄를 너무 많이 저질렀기 때문에 “사당만 보면 향불을 사르려 하고, 불상만 보면 목을 조아린다"는 것입니다. 여섯째는 인색이랍니다. 탐관오리일수록 남을 돕는 자선에 인색하며 힘없는 백성에게는 아주 냉정하다는 것이지요. <다음호 계속>

[편집자] 이 글은 갑오농민혁명계승사업회 이사장이신 조광환 선생님(전북 학산여중)이 들려주는 청소년을 위한 동학혁명이야기입니다.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우리의 역사를 다시금 되새기고 그 의미를 상기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리란 생각에서 연재합니다.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