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규 지음/ 철수와영희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를 배우기 위한 책들은 많이 나와 있지만, 사자성어나 고사성어를 쓰지 않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써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책은 이 책이 처음이다.

우리는 뜻도 모르는 사자성어를 느낌으로만 쓰며, 학습으로 사자성어를 배운다. 그러나 이 책은 ‘사자성어’를 비롯한 ‘한자말’을 ‘한국말’로 번역하고 풀어 썼다. 사자성어를 쓰지 않고도 말과 글을 쓰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오히려 더 의미가 잘 전달되는 우리 넋과 말과 삶을 담은 한국말을 살려 써야 한다.

책에서는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말’인 사자성어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가를 살피면서,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얼마나 슬기롭게 쓰거나 어리석게 쓰는가를 돌아보고있다.

이 책은 130권의 책에서 쓰인 사자성어와 잘못 쓴 말들을 뽑아내어 예로 들어 설명하며, 우리가 잘 사용하는 사자성어 420개를 담았고. 오자성어와 육자성어도 함께 담았다.

한국사람은 ‘한국말’과 ‘한자말’과 ‘미국말’ 이렇게 세 가지 말을 쓰며 살아간다. 이 가운데 ‘한국말’은 한국사람으로서 오랜 옛날부터 쓰던 말이랑 새 삶과 터에 걸맞게 새로 짓거나 들여온 말로 이루어진다. ‘한자말’은 중국사람이 중국땅에서 빚은 낱말이거나 일본사람이 일본땅에서 빚은 낱말이 거의 모두를 차지하고, 때때로 한국땅 지식인과 권력자가 빚은 낱말이 드문드문 차지한다.

책에서는 오래도록 이 땅에서 살던 붙박이가 쓰는 한국말이든, 한국을 새로운 고향마을로 삼는 이주노동자이든, 한국에서 원어민강사 일을 하러 찾아온 서양사람이든, 한국땅에서 지내며 한국사람이랑(또는 한국사람이 되어) 쓸 한국말이란, 겉과 속이 하나 되는 가장 아름다우며 빛나는 한국말이어야 한다고 말한고 있다.

한국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쓸 한국말은 뿌리부터 잎사귀와 꽃과 열매까지 싱그러이 빛나는 한국말이어야 한다. 오늘 쓰는 말을 뒷사람한테 물려준다고 생각한다면, 아무 말이나 섣불리 쓸 수 없기에 우리가 물려줄 말과 글을 알차고 싱그럽게 가꾼 다음 물려주어야 할것이다.


정리 이주리 기자 juyu22@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