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지음/ 문학동네





고은 시인의 선시집 『뭐냐』를 재건하여 여기 내놓는다. 이십여 년 전 빛을 봤던 시집이라지만 이후 그가 여기저기 발표하고 써두었던 선시들까지 두루 넣었으니 거의 새집과 진배없는 『뭐냐』. 우리가 잊고 있는 사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이탈리아어 등 세계적인 언어들로 번역되었고 현재 보다 많은 언어들로 번역 가운데 있다니, 시인 고은의 저력을 새삼 확인하게 되는 대목이다.

따지고 보자면 이 시집은 ‘선’의 세상 속에 뿌려진 소금이 아닌가. “사고를 정지시키는 공안(公案)과도 같은 정신의 폭죽들” “깨뜨리기에는 단단한 견과, 하지만 동시에 비어 있는 듯하다”라고 고은의 선시를 평한 알렌 긴즈버그의 소견을 보라. 번역을 통해서도 그의 시는 의미나 감정 전달에 손해보는 바가 전혀 없었다는 증거일 터, 놀라움이 앞선다. 뭐냐, 라고 내게 온 질문을 다시 뭐냐, 라고 되받아칠 때의 메아리, 그 울림을 타고 서로에게 전해지던 수많은 관념들이 어느 순간 말줄임표로, 그 침묵으로 자연스레 자연이 되어가는 현장…… 여기 고은 시의 바다에서 지금 벌어지는 일이 말이다. 그렇다는 얘기다.

굳이 따지자면 총 180여 편의 시를 담았다지만, 고은의 『뭐냐』는 셀 수 없이 많은 시편들로 직조되었는지도 모르겠다. 한 편의 시로 거듭나기에 충분한 한 줄의 시가 매 순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조보다 광대한 사유에 하이쿠보다 자유로운 품격으로 붓 든 자 아이인가 붓 든 자 노인인가 그 사이를 가늠할 바 없이 오고 가는 시인은 “우주 만물이 움직이면서 만드는 기미들을 살피고, 그 안에서 돈오의 알곡들을 골라”내기에 몹시도 분주한 모양새다. 때론 강권하고 때론 청유하고 때론 질문하고 때론 감탄하면서 시인은 마치 세상에 처음 온 듯, 그 처음으로 호기심밖에 가진 게 없다는 듯 걸음마다 두리번거림을 한 짝으로 삼고 있다.

정리 이주리 기자 juyu22@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