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랑 지음/ 은행나무





사람 냄새 나는 경험의 언어로 삶의 환희를 그려내온 작가 이명랑의 소설 《삼오식당》이 새로운 장정으로 은행나무에서 출간되었다. 2002년 첫 출간 당시 독자와 평단, 언론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던 《삼오식당》은 영등포시장 식당집 둘째딸이었던 작가의 기억과 체험이 녹아 있는 작품으로, 영등포 시장을 무대로 소박하고 친근한 이웃들의 애잔한 눈물과 희망찬 웃음, 삶의 악다구니를 따뜻한 시선과 구성진 입담으로 그려냈다.

《삼오식당》은 작가의 또 다른 장편 《꽃을 던지고 싶다》, 《나의 이복형제들》과 함께 ‘영등포 삼부작’으로 일컬어진다. <어머니가 있는 골목>, <까라마조프가(家)의 딸들>, <우리들의 화장실> 등 모두 일곱 편의 연작이 실려 있는 《삼오식당》에서 작가는 소설가이자 이십 대인 여성의 꾸밈없는 시선을 통해 우리 사회 주변부로 밀려난 시장 사람들의 삶의 해학과 슬픔을 생생한 장터의 언어로 그려낸다.

이 작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은 강퍅한 시장의 저 밑바닥에서 끌어올린 시장 사람들에 대한 작가의 공감과 이해, 그리고 연민이다. 그동안 우리 문학이 주목하지 않았던 삶의 현장, 영등포시장을 한국문학사의 중요 공간으로 끌어올렸다는 점에서도 《삼오식당》은 독보적인 위치를 점한다.

소설에서 영등포시장은 누구든 돈의 엄청난 위력을 수긍할 수밖에 없고, 또 그곳의 규칙에 의해 해석되고 판단되는 관습적인 가치관이 지배하는 공간이다. 까닭에 《삼오식당》의 대부분의 이야기들은 ‘여성수난사’의 성격을 띤다. 이곳의 남성들은 주로 여성들에게 수난을 초래한 가해자들이다. 남성들은 그녀들에게 불운과 가난과 눈물, 그리고 무엇보다도 생계의 책임을 지워주었을 뿐 특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여자가 돈 버는 거, 이것처럼 슬픈 인생이 어딨어?”(<잔치>)라는 당진상회 할머니의 탄식은 《삼오식당》에 등장하는 모든 여성들이 함께하는 것이라도 해도 결코 과장이 아니다.

작가의 눈에 비친 영등포시장은 ‘여성적 공간’이다. 물론 그의 소설에는 많은 남성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그들이 수행하는 서사적 기능은 제한적이고 또 대체로 부정적으로 제시된다. 그들은 술 마시고 주먹을 휘두르고 바람피우고 이따금 간계를 구사할 뿐, 시장의 리듬을 주도하지는 못한다. 지금까지 시장을 무대로 삼은 소설들이 주로 남성적 시선에 의해 구조화되었던 데 반해, 작가는 그 시선을 여성의 것으로 교체해버린다. 그런 의미에서 《삼오식당》을 시장에 관한 페미니즘적 보고서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모여 흥미로운 사건을 전개시키는 《삼오식당》의 소설 공간은 영등포시장이다. 이런 곳에는 사소한 이익을 위해 처절한 아귀다툼을 벌이는 영악하고 속된 사람들이 그득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원초적 본능의 세계라고 해서 부정적인 모습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에서는 그들끼리 서로 기대어 따뜻하게 감싸고 화해하는 장면이 펼쳐지기도 한다. 그러한 어울림은 가진 것 없고 더없이 속물적인 인간들이 서로에게 건네는 따뜻함으로 빚어내는 아슬아슬함을 동반하고 있기에 다른 어떤 곳에서보다 더욱 감동적일 수밖에 없다. 시장의 이러한 두 얼굴은 모순적이지만, 동시에 다양한 사건을 활기 있게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고 인간에 대한 탐구를 가능케 한다. 그리하여 작가가 구축한 영등포시장이라는 공간은 우리네 삶을 지배하는 거대한 시장의 은유에 다름 아니다.

작가는 이미 성장 과정에서, 또 영등포시장이라는 삶의 현장에서 시장의 양면성을 체득했다. ‘경험의 언어’를 가진 작가는 세태소설의 전통과 실존적 성찰을 적절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한동안 잊혀졌던 서사성 강한 리얼리즘 소설의 가능성을 다시 부각시키는 데 성공했다. 박태원과 양귀자의 소설이 청계천변과 원미동이라는 공간 이미지를 선명하게 남겼듯이, 이명랑이 구축한 영등포시장 역시 한국문학사에서 오랫동안 뚜렷한 소설적 잔상을 남길 것이다.

정리 이주리 기자 juyu22@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