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여개 시민사회·종교단체, ‘밀양송전탑’ 반대 목소리

 

 

밀양송전탑 건설 반대 목소리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밀양주민 김정회 씨,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상임대표 조성제 신부 등 대책위 관계자 3명은 밀양 송전탑 공사가 126일 만에 재개된 지난 2일부터 대한문 앞에서 공사 중단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이치우 할아버지의 분신자살(2012년 1월)로 인해 밀양 송전탑 관련 분쟁은 전국적 사안이 됐고 한전의 폭력적 공사강행과 지역노인들의 저항이 물리적 충돌로 이어지고 있다"며 "지금도 밀양에서는 3000여 명 경찰의 힘 앞에 무력하기 그지없는 노인들의 필사적 저항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송전선로가 설치되면 주변땅값이 낮아지는데 한전에서는 이를 제대로 보상해주지 않는다"며 "한전이 제공하는 보상금은 송전선로 극히 인접한 곳만 해주고 있고 그나마도 실제 거래가격이 아니라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주민들은 다른 곳에서 땅을 구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신고리-북경남 765kV 송전선로` 밀양구간 공사재개 22일째인 23일 밀양시 단장면·부북면·상동면 소재 철탑 현장 10곳에서 다양한 작업을 벌였다. 송전탑 반대 주민들은 바드리마을 입구 등 10여 곳에서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송전탑 공사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230여 개 시민사회·종교단체들도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천주교 인권위원회 등 230개 시민단체로 고성된 `밀양송전탑 서울대책회의`는 밀양 송전탑 공사와 관련한 감사원 감사를 청구했다. 서울대책회의는 23일 서울 삼청동 감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북경남 765kV 송전선로 밀양 구간 건설 사업`에 대한 감사청구를 했다.

서울대책회의는 "신고리원자력발전소와 북경남변전소(창녕)를 연결하는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타당성을 가지려면 부산·경남과 대구·경북지역이 전기소비지로서 전기를 공급받아야 한다"며 "그러나 이 지역은 전력발전량이 소비량보다 각각 166%, 139%로 높아 사실상 송전선로가 필요 없는 지역"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 "한국전력공사가 초고압 송전탑 건설을 위해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며 "감사원이 이 모든 문제에 대해 제대로 된 감사를 제공해 공익에 걸맞지 않은 사업에 추가 비용이 낭비될 소지를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대책회의는 감사청구서에서 `765kV 송전선로의 타당성`과 `밀양지역 송전선로 설계의 적절성`, `사업 시행 과정의 위법성` 등에 대한 감사를 요구했다.

한전은 내년 여름 전력난을 대비해 신고리원전 3·4호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경남 창녕에 있는 북경남변전소까지 가져가기 위해 울산-기장-양산-밀양-창녕 구간에 걸쳐 161기의 철탑을 건설하는 공사를 벌이고 있다. 765kV 송전선로 건설사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처음으로 요구한 것이어서 관심을 끈다.

불교단체도 밀양 송전탑 공사 중단을 외쳤다. 대한불교 조계종 환경위원회(위원장 장명 스님)는 23일 성명서를 통해 "정부와 한전은 밀양 송전탑 공사의 이유였던 신고리 3·4호기 핵발전소가 원전비리로 완공이 1년 이상 늦춰짐에도 지역주민의 희생을 강요하며 폭력적으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와 한전은 폭력적인 송전탑 공사를 지금 당장 중단하고 주민과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위는 또 "노인이 대부분인 주민들에게 가해지는 폭행은 지난 8년 동안 수없이 반복됐고, 연행에 구속, 손해배상 청구라는 사법적 폭력이 지속된다면 그 결과는 파국일 뿐"이라며 "정부와 한전은 폭력적 송전탑 공사를 지금 당장 중단하고 주민과 대화하고 협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민재 기자 selfconsole@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