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운송노동자들 총파업 돌입

수도권 레미콘 운송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돌입했다. 14일 전국레미콘운송총연합회 소속회원들은 서울광장에서 휴업선포 결의대회를 열었다. 레미콘연합회는 운송료 인상과 현행 도급 계약서 폐지, 임대차 계약서 정착 등을 요구하며 레미콘 공업조합 및 관련 정부조직과 5차례 걸쳐 협의에 나섰지만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이날 무기한 휴업을 선언했다.

레미콘총연합회는 “약 8년 동안 레미콘 운송료가 정체돼 시간이 지날수록 삶의 질이 하락하고 있다”며 "또한 하루 10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지만 8시간 노동 이외의 나머지 연장, 심야 수당은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레미콘 노동자들은 1회 운송료로 평균 3만2500원을 지급받고 있다. 한 달 평균 운송횟수는 85회이며, 월 평균 수입은 276만2500원 정도다. 문제는 노동자들이 손에 쥘 수 있는 실질 임금이 월수입의 50%도 안 된다는 점이다. ‘특수고용노동자’라는 직군으로 분류돼, 운송에 따른 모든 비용과 보험료까지 스스로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양재두 레미콘총연합회 수도권 공동투쟁본부 상황실장은 “레미콘 차량가격 1억 원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은행 이자가 매달 빠져나가고, 타이어 교체나 수리비, 차보험과 같은 운송에 따른 비용도 노동자들이 감당하고 있다. 그는 또 ‘특수고용노동자’라 보험 적용도 안 돼 국민연금이나 지역의료보험료 등이 월급에서 빠져나가면 손에 쥐는 돈은 고작 115만 원 정도”라며 “운반단가는 오르지 않는데 타이어교체, 수리비 등의 비용은 2004년에 비해 4배나 올랐다”고 설명했다.

10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이 관행처럼 이어지고 있는데도 연장, 심야수당도 지급받지 못하는 점도 지적됐다. 양 실장은 “새벽 3시에 조기 출근하거나, 도로공사 등으로 야간작업 할 때도 많으며 대기 시간도 길다”며 “하루 15~16시간까지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는데도 조출, 연장, 야간수당도 받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레미콘 노동자들의 도급계약서는 갑을 관계를 넘어선 ‘노예 계약서’다. 도급계약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고와 민형사상 책임은 레미콘 노동자들에게 전가된다. 또한 회사는 계약서에 ‘독립된 사업자임을 명백히 인식하여 노조활동 및 단체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며 노조활동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만약 조합원으로 가입하거나 노조 의복, 머리를 착용했을 경우, 또한 단체교섭을 요구하고 노조 간판을 걸었을 경우에는 회사가 노동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양 실장은 “도급계약서를 통해 노조 활동을 금지하고 있으며, 레미콘 노동자의 행위에 대해 미래의 예상되는 금액까지 손해배상으로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또한 회사는 노동자에게 서면이나 구두로 일방적인 계약해지가 가능하도록 명시해 놨다”고 설명했다.

한편 건설현장에는 비상이 걸렸다. 건설현장에서는 레미콘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레미콘업계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날 레미콘운송총연합회의 휴업으로 수도권 180개 레미콘 사업장 가운데 50개 현장이 조업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도권 레미콘 공장의 약 28%가 운송차량 휴업으로 멈춰 선 것이다.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는 레미콘 공급이 끊기면 일선 현장의 공정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대형 건설기업들을 중심으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대형사들은 자체적으로 현장을 조정하며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일분 중견, 중소 건설사들의 경우 그 마저도 여의치 않아 발만 굴리고 있다.

한편 레미콘운송총연합회는 14일 결의대회에 이어 15일 이후에는 레미콘 믹서트럭을 동원한 집회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사태 추이는 이날 집회 상황을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민재 기자 selfconsole@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