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근 지음/ 청림출판








[위클리서울] 윤수 씨는 사랑했던 여자와 헤어졌다. 이후 그는 사업에 몰두했고 30대 초반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지만 때때로 공황발작을 일으켰다. 혼란스러운 그에게 `모모`의 한 문장은 이유를 설명해주었고 상처로 멈춰진 시간을 되찾아주었다. 정연 씨는 늘 남의 눈치나 보는 ‘못난’ 자신을 한심해했다. 그녀는 힘든 형편에도  꿈을 이뤄내며 살아왔지만 우울한 어린 시절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움츠러든 그녀에게 `바보 빅터`의 한 장면은 ‘못난 인생’을 ‘대견한 인생’으로 바꿔주었고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도록 했다. 은서 씨는 슬픔에 빠져 있었다. 얼마 전 암으로 투병 중이던 엄마가 떠났지만 엄마와 제대로 이별하지 못했다. 마음이 닫힌 그녀에게 `마음이 아플까봐`의 그림 한 컷은 이별을 받아들이도록 했고 닫힌 마음을 열어주었다. 이들은 모두 마음속에 깊이 박힌 상처를 의미 깊은 이야기로 이겨냈다.

이 책, `당신이 이기지 못할 상처는 없다`는 그 과정을 담았다. 책 속 34명의 내담자들은 각자의 상처로 저자를 찾아왔고 각자의 마음을 다독여준 34가지 이야기와 만나며 희망을 되찾았다.

살다보면 마음을 다치는 일이 있다. 그때 우리는 상처 난 마음을 추스르고 다시 일어서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 상처 안에 오래 머물기도 한다. 우리는 왜 그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할까? 심리상담가이자 문학치료사인 저자는 그 이유를 “상처를 이길만한 희망의 이야기를 찾지 못해서”라고 전한다.

20대 시절, 저자는 문학 비평가를 꿈꾸던 전도유망한 학생이었다. 그러나 30대에 들어서면서 뜻하지 않은 삶의 과제와 싸우며 자신의 꿈과 멀어져야 했고 우울증을 겪어내야 했다. 그가 문학의, 이야기의 강력한 힘을 깨달은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그 무렵, 자신의 꿈과 멀어지면서 생긴 우울증을 이겨내면서였다. 상처 난 그의 마음을 치료해주었던 것은 다름 아닌 윤동주의 시였고, 빅터 프랭클의 자서전이었고, 영화 `빠삐용`의 주인공이었다. 한 편의 글 속에, 한 권의 책 속에, 한 편의 영화 속에 담긴 희망의 이야기들이 전해준 감동은 마음을 일으켜 세웠다. 이후 그는 심리 치료 분야에 들어섰다. 자신이 희망의 이야기로 내면의 상처를 치유했듯 그 어떤 심리 요법보다 울림 있는 이야기가 마음을 회복하는 강력한 힘을 지녔다고 믿는 저자는 지난 10년간 심리상담가로 활동하며 문학?예술 치료 요법으로 내담자들의 심리 문제를 치료해왔다. 이 책은 그 기록이기도 하다.

정리 이주리 기자 juyu22@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