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내현 지음/ 역사비평사





이 책은 17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조선에서 양반이 되려고 했던 ‘김수봉’이라는 어느 노비 집안의 멀고도 험난한 여정을 구체적으로 추적한 이야기다. 노비니까 당연히 신분 상승을 꿈꾸었을 것이라는 막연한 가정이 아니라, 당시 노비의 삶이 지닌 예속적이고 열악한 인간 조건을 세밀하게 분석하면서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삶이 얼마나 제한적이었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또한 노비들이 살았던 당대의 ‘호적대장’을 통해서 신분 상승을 꿈꾼 그들의 현실과 실상을 밝혔고, 아울러 조선시대 하천민들의 신분 성장사까지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조선시대의 평범한 인물들에 대한 정보가 호적만큼 방대하게 기록된 자료는 없다.

신분제도를 둘러싼 조선의 생활사 이야기가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특히 호적에서 관직 기록을 해독하는 방법인 행수법(行守法), 기혼 여성들의 호칭 차이, 노비의 현실과 양반의 집착, 노비에게 붙여진 이름에 담긴 사회적 천대와 멸시, 노비를 소유한 노비, 재혼을 포함한 결혼제도의 변화, 사회적 문제가 되었던 군역� 변질, 성씨와 본관의 획득 과정, 가문의 대를 잇는 일에 가운을 거는 관습으로 생겨난 입양제도의 변화 등 조선시대 일상의 세밀한 풍경이 묘사되어 있다.

이 책은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양반을 꿈꾸었던 한 노비 가계의 2백 년 이력을 기록한 것이다. 김수봉이라는 노비의 가계와 그를 둘러싼 주변 인물들을 추적하는 데 활용된 주요 자료는 ‘호적대장’이다. 양반이나 국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진 노비들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은 많지만, 그들의 가계를 복원하는 데는 호적만한 자료가 없다.

다만 현존하는 호적의 양이 많지 않고 호적에 전체 인구가 모두 다 들어가 있지 않아서, 완벽하게 가계를 복원했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평범한 인물들에 대한 정보가 이만큼 방대하게 기록된 자료는 없다. 각 가계의 호구에 관한 단순 기록들을 최대한 수평, 수직으로 수합해 놓고 살펴보면, 그들의 삶이 어떤 여정을 거쳤는지 불완전하게나마 되살릴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조선시대의 호적을 이해할 수 있는 입문서 역할도 아울러 하고 있다.

정리 이주리 기자 juyu22@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