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서울 그때를 아십니까?


세월에 따라 강산도 변한다고 해요. 그런데 요즘은 굳이 세월이라고 할 것도 없이 빨리 빨리 변하고 있는 게 서울의 모습이에요. 자고 일어나면 생겨나는 아파트, 그리고 새로운 빌딩들…. 아주 정신을 못차릴 정도지요? 여러분도 그런 경험 많이 있을 거에요. 그런데도 사방에선 고공크레인이 하늘을 찌르고, 포크레인이 땅을 파내고 있는 모습들 뿐이에요. 이러다가 우리가 살고 있는 집도 찾지 못하게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해요.
그렇다면 언제부터 이렇게 변화속도가 빨라졌을까요? 그건 근대화 이후 현대 사회에 들어오면서부터에요. 조선 왕조 이후 한반도의 중심이었던 서울 역시 마찬가지였어요. 서울이 조선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로서, 시골사람들에게는 살고 싶은 선망의 대상이었다는 건 알고 계세요? 이에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보내고, 마소 새끼는 제주로 보내라’는 속담이 생겨났을 정도에요. 
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가 발간한 <사진으로 보는 서울>을 중심으로 근대화 과정에서의 서울을 매주 소개해볼까 해요. 사진에서 느껴지는 서민들의 삶이 풍요로운 오늘의 기반이 됐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어요. 더욱이 강국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이중고를 겪을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고충은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셈이죠. 옛 서울의 모습도 감상하고 변화하는 생활상도 느껴보세요. 

 


1. 예방 접종 

 일제 시대 근대적 의료시설의 혜택을 받기 어려웠던 조선인들은 나름대로 `비방`을 이용, 질병을 퇴치하고자 했다. 말라리아 환자에게는 우체국 소인이 찍힌 우표나 엽서를 태워 그 재를 냉수에 타서 먹이거나, 환자의 등에 우표 석 장을 붙이기도 했다. 관청의 힘만큼 무서운 것이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또 어떤 이는 철교 아래에 환자를 매달아 놓아 기차가 지나갈 때 겁에 질려 말라리아 귀신이 도망가길 빌었다. 1924년 독감이 크게 유행하자 일본 순사의 이름이나 조선 총독의 이름을 이마에 붙이기도 했다. 조선 총독부가 전염병보다 더 무섭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진은 늦게나마 근대 의료의 혜택을 받았던 사람들이다.

 


2. 경성부립순화병원

일제는 1915년 `전염병 예방령`을 공포하고, 뒤어어 세칙을 마련해 콜레라·장티푸스·천연두 등 9종을 전염병으로 규정했다. 일제는 조선사람이 조금만 열이 있어도 전염을 구실로 마구잡이로 `병막`에 가두었다. 그러나 병막은 기초적인 의료설비나 의료진도 없는 그야말로 죽음의 감옥이었다. 사진은 1909년 인왕산 기슭에 설립된 경성부립순화병원이다. `순화병원`이란 일종의 전염병 환자 격리 수용병원이었다.

 


3. 약초 조제

일제는 우리의 전통의학을 인정하지 않았다. 한의사나 한약사란 칭호도 없애버리고, 의생 또는 약종상이라고 천시해 불렀으며, 자격시험마저 없앴다. 이 때문에 한의사의 수는 갈수록 크게 줄어들었고, 한의학은 침체될 수밖에 없었다. `돌팔이 한의사`란 나쁜 용어는 바로 이 때부터 비롯되기 시작했다.

 


4. 약방(1920년경)

1930년대 초 국제연맹에서 동양의학(한의학)을 크게 주목하고, 우리 전통의학계 또한 우리 의학 지키기에 나서면서부터 다시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일제 또한 경성제국대학에 한약강좌를 설치하고, 경성의 순화병원에 한방치료부를 특설했다.

 


5. 총독부 도서관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규장각·존경각 등이 있어 도서관의 기능을 담당해 왔다. 3·1 만세운동 이후 일제는 형식적이나마 조선인의 문화활동을 허용했으며, 이에 이범승은 1921년 경성도서관(현 종로도서관)을 설립했다. 그러나 최초의 사립 공공도서관이었던 경성도서관은 자금난으로 1926년에 경성부에 양도됐다. 일제는 1922년에 경성부립도서관(남산도서관의 전신)을 세웠으며, 1923년에는 총독부도서관을 세웠다.
총독부도서관은 중구 소공동 6번지 옛 남별궁 터에 있었다. 르네상스 양식으로 총 공사비는 22만 6000원이 들었다고 한다. 지금은 헐려지고 이곳에 롯데백화점이 들어서 있다.

 


6 경성부립도서관

경성부립도서관은 1922년 10월, 명치정(현 명동)에서 문을 열었다. 그리고 1927년 5월 장곡천정(현 소공동) 115번지에 있던 대관정으로 이전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