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권 의원 “비현실적 관람제도 고쳐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가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국립산림과학원이 지역주민과 시민사회의 홍릉숲 개방요구에 예약가이드제를 도입했지만 까다로운 예약조건 때문에 사실상 일반인의 홍릉숲 방문실적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홍릉숲은 1922년부터 임업시험을 목적으로 조성되어왔으며 93년 이전에는 일반인에게 개방을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93년부터 일요일 개방을 했고 국립산림과학원이 토요휴무제를 실시하기 시작한 2008년부터 주말개방을 실시했다. 주중에는 일반 시민들의 관람을 제한했다.

특히 2006년부터 정부기관의 지방이전이 추진되면서 홍릉숲의 산림과학원 지방이전과 숲 개방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7월까지 4차례에 걸쳐 국립산림과학원, 동대문구와 구의회, 매일개방시민연대, 주민자치위원회 등 지자체와 주민단체는 홍릉 숲 주중 개방에 대한 협의를 해왔다. 결국 지난 해 12월 22일 2차 협의회에서 주민들의 ‘완전’ 또는 ‘혼합 개방’ 요구에도 불구하고 국립산림과학원의 설득에 의하여 ‘예약가이드제’ 방식의 주중 개방을 도입하기로 했다.

‘예약가이드제’ 방식은 방문 7일전에 인터넷 또는 전화 예약을 하고 오전 9시, 오후1시, 오후 3시 하루 3회 조당 20명씩 회당 4개조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하루 관람 상한인원은 240명이다.

광릉에 위치한 국립수목원의 사전예약제 방식은 관람 당일까지도 수시 예약이 가능한 것과 비교할 때 홍릉숲의 예약가이드제는 상당히 까다로운 관람조건이다. 예약가이드제를 도입한 5월 달 주중 관람인원이 146명으로 가장 많았고, 8월은 99명에 불과했다. 5월부터 9월까지 하루 평균 관람인원은 5명에 그쳤다. 주중에 국립산림과학원 정한 홍릉숲 탐방 하루 상한 인원 240명이 무색할 정도로 관람객 수는 매우 적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홍릉숲 개방을 제한하는 이유로 “연구방해와 보안문제” 때문이라고 김 의원 측에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홍릉숲의 현실성 있는 개방을 위해서는 국립산림과학원을 백두대간이나 산림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전해 현장중심형 연구기관으로 거듭나는 것도 홍릉숲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산림청의 조직현황을 볼 때 산림분야는 속성상 현장에 거점과 기반을 두고 연구를 하는 것이 효율도 높고 성과도 크다. 산림청은 대전 정부청사에 본부조직을 두고 있지만, 실제 중추는 현장의 조직들이다.

일선 조직은 원주의 북부지방청(강원 중북부, 경기도), 강릉의 동부지방청(강원 남부, 영동), 동의 남부지방청(영남), 공주의 중부지방청(충남북), 남원의 서부지방청(호남) 등 5개 지방청과 27개 국유림관리소가 전국의 산지를 중심으로 포진되어 있다. 여기에 산림항공관리소(원주), 국립수목원(경기도 포천), 산림종자품질관리소(충주), 산림교육원(포천) 등 전부 지방에 있고, 서울에 있는 곳은 국립산림과학원이 유일하다.

김 의원은 “41ha에 이르는 서울의 대표적 녹지다. 도시 숲으로는 드문 생물다양성의 보고다. 구한말 전후 시험림으로 출발해 100년 동안 이어져 왔다. 정부기관의 쾌적한 근무여건 보장 때문에 시민들의 도시 숲 이용을 제약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