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임미숙의 즐거운 나의 시골생활 이야기

경북 김천시 구성면 월계리. 속명 ‘골마’라는 곳에서, 전원생활에 푹 빠져 사는 나. 시골댁~~. 언덕위에 위치한 농가의 해발높이가 300m이니 마을지대가 꽤나 높은 편이다. 필자가 사는 농가에 가기 위해서는, 김천에서 25km정도를 거창 쪽으로 가다가, 충북 영동 쪽으로 조금 들어가다 보면 맑은 냇가를 만난다. 올갱이가 살고 있는, 아직은 오염되지 않은 청정 개울을 건너 산중턱으로 오르다 보면 빨간 지붕이 보인다. 1987년도에 대구에서 이곳 월계리로 이사 온 울 아버지. 지금처럼 귀농개념도 없었던 시기에, 젖소 목장을 하시겠다고 들어온 이곳. 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어머니를 잃고는 외로운 삶을 사시다 가신 이곳. 그 당시 이곳을 처음 방문했을 때는, 정말 척박했다. 김천서 버스를 1시간은 타야 도착하고, 버스길도 비포장이던 그 시절, 그때 마련되어진 이곳 월계리 집. 2009년 아버님의 장례를 치르며 결심했어, 지금 내려가는 거야. 그때는 경기도 일산에 살고 있던 터라 나름 고민 끝에 지금이 적기라고 생각해 결정하게 되었다. 2010년 10월, 내 나이 50 초반에 물 맑고 공기 좋고, 산세 좋은 월계리로 내려왔고 전통된장을 만들며('장만나는 커피향 항아리’: http://mee5912.blog.me) 하루하루 바쁜 농촌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시원시원하게 비가 내렸다. 달디 단 비로구나~. 농부의 마음은 마냥 기쁨에 흠뻑 젖어 내리는 비를 쫄딱 맞아도 웃음이…. 워낙 가물었던지라, 이전에도 몇 번 비가 내렸지만 금세 메마르고 말았더랬다. 좀 더 많은 양의 비를 기다리다 드디어 메말라 갈라졌던 대지도, 농부의 얼굴도 환해졌다.

남아도는 쌀을 소비하자는 쌀소비 촉진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어떻게 하면 쌀이 팍팍 줄어들 수 있을까? 경북도기술원에선 음식연구회 주도로 쌀을 이용한 제과, 제빵 교육을 실시했다. 김천우리음식연구회는 작년에 벌써 쌀 쿠키, 쌀 빵의 교육을 마친 상태라 또 다른 무언가를 찾아야했다. 쌀로는 분명 한계가 있다. 그냥 밥을 해서 한 공기 뚝딱 먹는 것이 최고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정작 현실은 그렇지 않다. 쌀밥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

달콤한 빵은 좋아하지 않는다. 식빵이나 베이글, 바게트, 통밀빵 등 주로 거칠고 단맛이 적은 빵들이 입맛에 맞다. 대학교수님이 강사로 오셔서 3일 간 쌀빵, 쌀쿠키 만드는 법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었다. 쌀만 100% 사용해보기도 하고, 다른 것과 섞어가면서도 하다 보니 고소하게 중독성 있는 그 맛에 매료됐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모색하면서 즐거운 3일간의 쌀교육을 마쳤다.

 

 

친구 새코미는 열심히 배워서 40년 경력의 제빵사 남편에게 알려주겠단다. 교육기간 동안 열심히 하긴 했지만, 기껏 3일 교육 받아 40년 내공에 어찌 덤비려고….

김천농업기술센터에서 촬영이 있었다. 음식연구회에서 실습했던 자두장아찌를 곁들인 자두비빔밥과 자두슬러시, 자두소스로 만든 샐러드, 이렇게 메뉴를 정하고 촬영도 했다. 그런데 방송되는 날짜가 애매하다. 자두축제와 자두 철이 끝나가는 7월 28일. 담당 PD는 계속 재방송을 해서 아마도 내년 자두철까지도 방송을 볼 수 있을 거란다. 황당하지만 달리 방법이 없다.

그렇게 바쁜 날이 지나고, 음식연구회 회장단들이 역량강화 현지교육을 1박2일 간 다녀왔다. 요즘은 공무원도 직접 일정계획을 짜는 것이 아니고 전문 업체에 위임하나보다. 1박2일 일정을 업체 이사님이 지휘하신다.

각 지방의 잘나가는 로컬푸드 직매장 방문이 인상 깊었다. 봉화군의 로컬푸드 매장은 항상 꿈꿔오던 모습에 가까웠다. 한쪽으론 카페가 있고, 또 한 쪽에는 쌀로 만든 쿠키, 빵 코너가 있었다. 매장이 넓어서인지 농산물 코너도 있었다. 농민들이 자신들의 농산물을 스스로 진열하는 방법이다. 이층에는 세미나실도 있다. 농한기에는 문화센터를 운영하는데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단다. 얼마 전, 고속도로 휴게소 한켠에 김천로컬푸드 매장이 오픈한 상태라 봉화의 로컬푸드 매장에 더 관심이 갔다. 역시 내 몸엔 농부의 피가 흐르고 있나보다. 봉화와 의성은 경북에서도 오지 중의 오지. 개발이 늦은 곳이지만 요즘은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하고 있다.

 

 

저녁때는 울진으로 넘어가 바닷가에 위치한 숙박시설에 짐을 풀었다. 2인 1실로 편안하게 지낼 수 있었다. 보통은 큰 방에 여러 명이 함께 묵는데 이번에 너무 럭셔리하게 재워주는 거 아니냐며 모두 즐거워했다. 바다 한가운데 떠있는 듯한 방에서 잠을 잤다.

인원 60명. 대형버스 2대로 이동하니까 식당을 정하는 것도 문제다. 주로 농가맛집을 탐방한다. 어떤 곳에서는 1차, 2차 나눠 번갈아가며 식사를 하기도 했다. 모두 음식연구회 회장단들이다 보니 식사메뉴가 매우 중요했다. 농가맛집을 가장 선호한다. 이번 여름휴가에 농가맛집 투어를 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농가맛집은 농촌진흥청의 사업으로 지방마다 한두 곳은 꼭 있다. 그 지방의 특색을 살리고 식재료는 대부분 우리농산물을 쓴다. 주의할 점. 예약제라서 즉흥적인 식사는 좀 문제가 될 것이다. 간단한 메뉴 한가지씩은 금방 준비가 된다고 하니, 꼭 농가맛집을 탐방해 볼 것을 추천해본다.

울진 성류굴을 찾았다. 삼척의 환선동굴과는 또 다른 느낌으로 인상 깊었다. 입장시간이 촉박해 앞사람 엉덩이만 쳐다보며 급히 다녀오느라 아쉬움이 많았다. 감상할 시간이 너무 없어서, 그 묘한 분위기의 동굴을 그저 열심히 걷다가 나온 느낌? 단체 여행은 이래서 문제다. 앞 방문지에서 너무 지체하는 바람에 성류굴에서는 아쉬움만 남았다. 여유 있을 때 다시 찾아올 거라고 다짐했지만, 자신은 못한다. 하고 싶고 가고 싶은 곳은 많아도 너무나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 앞에서 늘 움츠러든다.

 

 

버스에서 내리기만 하면 내리쬐는 태양의 강렬함. 일행 모두 헉헉대기 바빴다. 버스 안이 최고의 피서공간. 나중엔 버스에서 내리는 것을 꺼리는 이들도 눈에 띈다. 어느덧 1박 2일의 여정이 끝나고 있었다. 각 지역마다 농업기술센터 소장님과 과장님이 환대해주셔서 감사했다. 음식연구회 회장단이 힘이 있나보다.ㅎㅎ

버스에서 자기소개 할 때 “농부 선배님들이 잘 이끌어주고 많은 정보도 나눠달라”고 했다. 경북 23개 시군의 회장님들 재주 많은 분이 어찌나 많은지, ‘난 무엇을 하고 살았나’ 살짝 자괴감이 들 정도였다. 다른 사람들은 나를 보고 어쩜 그리 열심히 바쁘게 사냐며 대단하다고 한다.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어찌나 쑥스럽고 민망한지…. 바쁘게 사는 건 사실이지만, 남들보다 추진력 있게 일을 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엉성함 투성이인 나를 좋게 봐주시니, 모자람 들키지 않게 더 많이 노력해야겠다.

김천에는 자두포도축제를 아주 크게 한다. 이번에는 ‘전국노래자랑’까지 겸한다고 하니 시끌벅적 축제 분위기 제대로일 듯하다. 다양한 물놀이시설,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체험거리도 많다. 무엇보다 그 유명한 김천자두를 만날 수 있다는 사실!

벌써부터 서울 언니들한테서 자두 주문이 들어온다. 해마다 자두 심부름만 수십 건을 해결하는 자칭 자두홍보대사다.ㅋㅋ

 

 

오늘도 김천농업기술센터에서 축제 때 쓸 자두잼을 만들었다. 하루 종일 자두를 썰고 갈고 하느라 사우나 수준의 땀을 흘렸다. 함께한 회원들도 엄청 고생했다. 쌀쿠키 체험에 사용될 잼이었다. 홍자두라는 색 고운 자두로 만든 자두잼. 맛이 좋다. 그 새콤함이 살아있어 달기만한 잼보다 훨~씬 맛나다.

축제가 한여름에 열리다보니 참가자들은 더위 때문에 고생이 이만저만 아니다. 게다가 우리는 오븐 앞에서 쿠키를 구워야한다. 그 고통, 독자님들의 상상에 맡긴다.

7월 14~16일까지 3일간 김천자두포도축제에 많이들 놀러오시라. 다양한 자두뿐만 아니라 여러 품종의 포도들도 한눈에 볼 수가 있어 색다른 경험이 될 것이다. 그리고 송해아저씨가 나오는 전국노래자랑도~.

더위를 생각하면 벌써 걱정이 앞서지만, 축제행사에 참여해 김천을 알리는데 한몫을 한다고 생각하며 의무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열심히 참여해보련다. 김천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자두축제에 관한 정보가 나와 있으니 많이들 놀러오세요!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