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울상 여전, 달걀 값 급락으로 한 판에 500원까지

‘태풍’은 지나갔지만 마음고생은 여전히 깊다.

먹거리 논란으로 떠들썩했던 살충제 달걀 파동의 여진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소비자들은 소비자들대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 산란계 농장 주인들도 ‘살충제 공포증’에 신음이 깊다.

지역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합격 여부 판정에 따라 농민들의 표정은 하늘과 땅 차이다. ‘살충제 농장’이라는 꼬리표가 떨어진 곳은 그나마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분위기다. 하지만 마냥 좋아할 수 없는 처지다.

 

 

달걀값 폭락으로 농장 이름까지 바꾸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한다. 경기 지역에선 부적합 농장 18곳 가운데 10곳 가까이가 강제 털갈이 조치에 들어가면서 여전히 달걀을 판매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한달 째 수입이 제로다. 사실상 울며 겨자먹기 심정으로 적자를 버텨야 하는 처지다. 충남과 달리 경기 지역은 최종 합격 판정을 받기 전까지 농장의 이름을 바꾸는 것도 허용되지 않고 있다.
 

“산란일 표기는 무리”

‘살충제 달걀’ 파동은 소비자 시장을 크게 흔들어놨다. 소비자 불신에 달걀 수요가 급감하면서 한 판에 1만원까지 치솟던 달걀값은 특란 기준으로 5637원까지 떨어졌다.

대형마트들은 4000원대 달걀을 내놓고 특판 행사를 하고 있고 도매가는 3000원을 웃돌다 급기야 1000원 밑으로 떨어졌다. 일각에선 500원에 팔리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달걀 1개당 가격이 10원에서 30원으로 떨어지면서 이대로가면 농장 대부분이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판로가 막혀 재고가 열흘 치 이상 쌓여 있는 농장도 주름이 깊어지기는 마찬가지다. 여기에 대한양계협회는 농장에 일주일 이상 보관된 달걀을 모두 폐기처분하라고 공문을 보냈다.

양계협회는 “살충제 달걀에 이어 ‘상한 달걀’이 문제가 되면 소비자 불신이 극에 달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내린 극약 처방”이라고 설명했다. 살충제 달걀 파동 이후 폐기처분한 달걀만 해도 최소한 약 7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난각 표시 변경안을 행정예고했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만만치 않다. 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저온유통체계’가 마련돼 있는 우유와 달리 달걀은 아직까지 그런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달걀에 산란일 표기를 하는 국가는 전 세계에 없다며 행정편의주의라고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살충제 달걀’ 논란이 가을 바람과 함께 식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