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빈 에번스 지음/ 강미경 옮김/ 김영사

영국에서 태어나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저널리스트로 활동한 이력이 있는 저자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간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다. 저자는 “피, 불, 순결, 죽음, 삶을 상징하는 특정 색의 영원한 의미에서 벗어나는 순간 나머지 색도 눈에 들어온다는 점을 보여주려 했다”(217쪽)고 한다. 하나의 상징에만 매여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복잡다단하게 변하는 색깔의 의미를 알지 못하면 빈약한 세계관을 가지게 된다. 노랑은 유럽 회화에서는 예수를 배신한 유다의 망토 색으로 선택될 정도로 비겁함을 상징했지만 일본에서는 정반대로 영웅주의를 의미하는 색으로 영웅을 숭배한 무사들은 가슴에 노란 국화를 달았다. 초록은 일반적으로 평화를 뜻하지만 셰익스피어가 《오셀로》에서 사용한 초록 눈의 괴물이라는 표현 때문에 서구에서는 질투를 의미하기도 한다. 세계 많은 지역에서 상복은 검은색이지만 힌두교도들은 흰색을 입는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색깔과 인간이 함께해온 역사의 비밀을 풀다보면 문화와 역사를 초월하여 존재하는 색깔의 절대적 의미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같은 색이 지니는 다른 의미를 알면 지구 반대편에 살고 있는 사람까지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이 색깔에 부여한 상징과 지위는 사회의 통념으로 자리 잡아 인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언어, 정체성, 인간관계, 라이프스타일을 지배한다. 당연하다고 생각해온 색깔에 대한 인식을 뒤집어보고 ‘과연 그럴까?’라는 의문을 던지면 색깔에 숨은 기막힌 반전과 지혜를 만날 수 있다. 정말 분홍은 여자들이 선호하고 파랑은 남자들에게 잘 어울리는 색일까? 1897년 〈뉴욕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그 당시에는 분홍이 남자아이에게 어울리는 색으로 간주됐다. 1950년대까지도 분홍색 남자아이 옷은 미국에서 대량생산되고 있었다. 사실 오늘날 일반적으로 퍼져 있는 ‘분홍은 여자의 색’이라는 시각은 1950년대 이후 시작된 패션, 화장품, 자동차 업계 회사들의 여성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 전략 때문이다.

이 책은 감각적인 150여 컷의 도판을 글과 어우러지도록 구성하여 읽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보는 즐거움까지 느낄 수 있다. 이집트인이 만든 파라오의 청동 조각상, 모네와 고흐의 명화, 《주홍 글씨》 《오즈의 마법사》 《백설공주》 같은 유명한 소설과 동화의 일러스트, 세계적인 권투 선수 카넬로, 노란 리본이 나부끼는 홍콩의 시위 현장, 분홍을 컨셉으로 한 엘리자베스 아덴의 화장품 광고 등 역사적 사진부터 현대의 트렌디한 사진까지 시대와 분야를 넘나드는 사진들로 가득하다. 사진과 텍스트를 함께 보면 큐레이터의 해설을 들으며 세계사 박물관을 거니는 듯한 지적 유희를 만끽할 수 있다. 막연하게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어떻게 색깔의 상징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주해왔는지 생생하게 볼 수 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