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온갖 역경 딛고 꿈 이룬 가수 김덕희 스토리

▲ 김덕희

이 글은 경기도 안성 당직골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4학년이 될 무렵 학교를 그만두고 남의 집 더부살이를 시작, 결국 가수로서 꿈을 이룬 김덕희가 쓰는 자신이 살아온 얘기다. 김덕희는 이후 이발소 보조, 양복점 등을 전전하며 오로지 가수의 꿈을 안고 무작정 상경, 서울에서 장갑공장 노동자, 양복점 보조 등 어려운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초·중·고 검정고시에 도전, 결실을 이뤘고 이후 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에 진학해 사법고시를 준비하다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가수 도전장을 내밀었고 결국 성공을 거뒀다.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하면서 라디오에서 나오는 송창식의 ‘왜불러’, 이은하의 ‘아직도 그대는 내사랑’을 들으며 가수가 되고 싶었어요. 그동안 고생도 많이 했지만 꿈을 이뤘다는 것이 너무 행복할 뿐입니다.”

<위클리서울>의 간곡한 요청에 결국 연재를 허락한 김덕희가 직접 쓰는 자신의 어려웠던 삶,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에 이르기까지의 얘기들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 그리고 모든 현대인들에게 귀감이 될 것이란 생각이다. 많은 성원 부탁드린다. <편집자주>

 

그렇게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11세 소년의 머슴살이는 시작됐다. 그리고 최소한 며칠이 지날 때까지 난, 그저 행복하기만 했다. 집에 있을 땐 며칠씩 굶는 게 부지기수였는데, 이곳에선 매 끼니, 그것도 쌀밥을 먹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며칠을 지내던 어느 날 내 머릿속에 불현듯 떠오르는 게 있었다. 그리고 가슴이 아릿해져오는 걸 느꼈다. 바로 매일을 술에 젖어 사시느라 끼니 해결은 생각도 않고 계실 아버지란 존재였다. 한 번 뇌리에 떠오른 생각은 부엌 아궁이에 장작을 넣을 때도, 주인집 아들을 도와 쇠죽을 쑬 때도, 수북히 쌓인 하얀 쌀밥을 떠서 입에 넣을 때도 항상 불쑥불쑥 튀어나와 어린 나의 가슴을 헤집었다. 아릿한 감정은 점차 비수가 되어 몸 이곳저곳을 찔러대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렇게 꿀 맛 같던 하얀 쌀밥도 목에 걸려 넘어가지 않기 시작했다. 수북히 쌓인 밥 공기를 볼 때마다 이 많은 밥을 아버지와 반씩만 나눠 먹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나중엔 며칠씩 잠까지 설칠 정도였다. 참, 사람이란 동물은 묘한 것이었다. 배가 고플 때는 그저 눈 앞에 놓인 하얀 쌀밥에만 신경이 쓰이더니, 배가 부르니까 아버지가 떠오르다니….

그리고 결국 아버지께 밥을 갖다 드리고 와야지 되겠다는 결심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문제는 언제 틈을 내서 집에 까지 다녀오느냐 하는 것이었다. 이른 새벽부터 밤 늦은 시간까지 줄곧 일을 해야 하다보니 좀처럼 시간을 내기가 힘들었던 것이다. 게다가 내가 잠시라도 일자리를 비우면 그 집 주인이 눈치를 챌 게 뻔했다.

 

 

방법은 오직 하나. 집 안일을 다 끝낸 다음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었다. 밤을 새우는 일이 있더라도 다녀와야겠다고 결심을 굳혔다. 보름달이 훤히 뜬 밤이라면 그리 무서울 것도 없을 것 같았다.

그 집에서 산 하나만 넘으면 아버지가 계신 우리집까지 갈 수 있다는 것도 용기를 갖게 해주었다. 그리고 드디어 실행에 옮기기 시작했다. 일단 밥을 모으는 게 문제였다. 난 식모생활을 하는 누나가 밥을 줄 때마다 밥을 반 정도만 먹고 나머지는 몰래 준비한 비닐봉투에 담기 시작했다. 얼마 가지 않아서 비닐봉투 안에 가득 하얀 쌀밥이 채워졌다.

그리고 하루의 일을 모두 마친 어느날 밤, 난 드디어 주인들이 모두 잠 든 틈을 이용해 쌀밥이 든 봉투를 품에 안고 그 집을 빠져나왔다. 예상했듯 보름달이 휘엉청 뜬 밤이었다. 하지만 산길은 어둡기만 했다. 난 여러번 돌부리에 발이 걸려 넘어져가면서 몇시간 만에 간신히 집에 도착했다. 집에 불빛들은 이미 다 꺼진 상태였다. 방문을 조심스럽게 열어보니 아버지께서는 무슨 일로 피곤하셨던지 코를 골며 잠을 주무시고 계셨다. 난 아버지를 깨우지 않았다. 그리고 가지고 간 비닐봉지 안의 쌀밥을 꺼내 부엌에 있는 빈그긋에 차곡차곡 담아 두었다. 아버지는 부엌에서 딸그락 소리가 나는데도 일어나실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저 코고는 소리만이 정적을 깨고 있었다.

난 마지막으로 방문을 열어 아버지의 주무시는 모습을 다시한번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콧등이 시려왔다. 난 얼른 문을 닫고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다시 옮겼다. 그리고 왔던 길을 그대로 거슬러 다시 머슴살이를 하는 집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그 집에 도착하니 잠에 든 줄 알았던 주인 부부가 일어나 있는게 아닌가. 내가 대문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보더니 화들짝 놀라는 것이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내가 없어진 걸 안 주인들은 일이 힘이 들어 영영 집으로 돌아가버린 것이라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주인 부부는 내게 어디를 다녀왔느냐고 물었다. "집에 다녀왔다"고 하자, 그 이상은 묻지 않고 방으로 들어가셨다.

그 집은 3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이었다. 할머니, 집주인 내외, 자녀들 5명, 큰아들 내외, 그리고 식모누나 그리고 나까지 12명이 그 집 식구였던 것이다.

집 구조도 집주인이 사는 안채에 할머님이 사는 별채, 아들이 사는 행랑채, 누에를 기르는 광, 소를 키우는 헛간이 있었다. 난 누에 키우는 광에서 누에와 함께 생활하고 잠을 잤다. 이불이 없어 자루포대를 덮고 잠을 잤던 기억이 선명하다. <다음에 계속>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