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닷컴> 세 할머니의 집-심계순 할머니의 두 칸 집 ①

이 집은 빈 집이구나, 처음엔 그리 생각하였다.

그런데 빈 집이라기엔 티끌 없이 정갈하다. 그렇다고 누가 사는 집이라고 하기에는 지금 세상의 흔적이 아무것도 없다.

인기척에 문이 열렸다. 낭자머리에 비녀를 꽂은 심계순(90) 할머니.

 

▲ 함평양민학살로 집을 잃고 남편을 잃은 심계순 할매. 꼬실라져버린 집자리에 지어올린 방 한 칸 부엌 한 칸 두 칸집. 할매와 함께 꼿꼿하게 이 생애를 버텨냈다.

“나는 양지 응지 다 쐰 사람이여”

할매는 열여섯 살에 이 마을에 시집 왔다.

“그때는 일본 시상이여. 광주에 제사공장으로 모다 끄꼬가. 뇌동 시길라고. 글로 안 보낼라고 시집 보낸 거여. 우리 친정이 딸 둘 아들 너이 6남맨디 내가 질 큰딸이여. 신광서 가매 타고 왔어. 동짓달 스무이렛날이여. 춘가 어찐가도 몰르고.”

그 날부터 살아온 집이다.

“신랑은 동갑이여. 암것도 몰라.”

암것도 모르던 남편은 스물 세 살에 세상을 떠났다.

“총 맞아서 죽었어.”

6·25전쟁통이었다.

“여가 불갑산 뽀짝 밑이여. 산사람한테 밥 준다고 다 소개되았어. 집 태와불고 돼야지막도 태와불고 암것도 없어. 산속으로 피헐라고 가는디, 내가 뒤에 가고 신랑이 앞에 가는디 바로 눈앞에서 총을 맞았어. 군인들이 쏴 불었어. 묻도 않고 쏴 불었어.”

 

▲ 몇 번을 덧대어 바른 문. 시간의 무늬가 새겨졌다.

 

백일도 안된 애기를 보듬고 있었다. 눈물도 소리도 안나왔다.

“애기를 보듬고 덤불 속에 앙겄는디 해는 설풋허고 인자 갈 디 올 디가 없어. 우두커니 앙겄다가 풀을 뜯어서 덮으고 독을 갖다가 놔뒀어. 패적(표시)을 해야 헌께. 글고는 시외갓집 있는 디로 찾아갔어.”

난리통이 끝나고 그 자리를 찾아갔다.

“가서 보니 다 썩었어. 머시 무솨. 남편인디. 놉은 얻어갖고 갔는디 관도 없어. 그래도 어찌고 묻어야제. 그 자리를 파서 그작저작 묻고 나무 꽂고 독 놓고 ‘여그다’ 표시허고 왔어. 돌아봄서 왔어.”

지금은 선산으로 모셔 두었다 한다. 스물 세 살에 세상을 떠난 남편 모상근의 제삿날은 정월 보름. 국군의 ‘정월대보름작전’으로 무차별 사살된 ‘함평 양민’ 중 한 사람이다.

1950년 12월6일부터 이듬해 1월14일까지 40일 동안 함평 월야·나산·해보 3개 면에서 공비토벌이란 명목으로 국군 제11사단 20연대 2대대 5중대에 의해 자행된 양민학살사건. 무차별 총살로 무고한 양민 524명이 희생되고 1454호의 가옥이 불에 타 없어졌다. 이 기록은 1960년 국회 양민학살특별조사위원회가 현장을 방문해 조사한 것일 뿐, 불갑산 일대에서 학살된 민간인은 1500명에서 최대 3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비극의 역사는 그렇게 한 가족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남편이 죽으문 웅중(흉중)이 꺾어지고 하늘이 무어진다고 허드만. 시어마니는 아들이 죽었어. 그 속을 내 속에다 대겄소?.”

홀시어머니와 백일도 안된 아들을 보듬고 스물 세 살 각시는 각심을 했다.

“나는 앵간히 고상시런 것은 고상시럽다고 안해라. 나는 양지 응지 다 쐰 사람이여. 무선 것이 없어.”

 

▲ 꺼멍봉다리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할매. 마루벽 시렁에 올린 조랑조랑 봉다리엔 신발이 들어 있다. 마루의 옹이구멍도 꺼멍봉다리를 뭉쳐 야물게 막았다.

“새로 시집 가지 말고 꽉 살어라”

응지를 살아가야 하는 딸이 얼마나 아렸을까. 난리통이 지나고 친정아버지가 와서 집을 지어주었다. 지금 살고있는 집이다.

“새로 시집 가지 말고 꽉 살어라고 허십디다. ‘니 새끼가 범띠에다 자시에 났은께 잘 살 것이다. 딴 맘 먹지 말고 꽉 살아라’ 그 말씀을 허십디다.”

청송 심씨 친정아버지는 출가외인인 딸의 처신이 항시 마음 쓰였던가 보다.

 

 

“한번은 친정에 갔는디 동숭아덕(동생댁)이 술밥을 찌드란 말이요. 찹쌀도 여코 보리쌀도 여코 많이 찝디다. 창시(창자) 앞에는 치면(체면)도 없다드니 그 놈을 얻어묵고 올라고 근디 친정아버니가 들에 갔다 오시더니 ‘아이 니그 시모님 어쩌시라고 안 갔냐’ 막 그러개. 헐 수 없이 애기를 업고 나온디 어매가 따라나옴서 ‘아이, 아버니가 너 미워서 글 안해야, 또 온나 또 온나’ 그러셔.”

술밥을 못 먹어서였는지 아버지가 야단을 쳐서였는지 어머니가 짠하다고 잡은 손 때문이었는지 애기를 업고 울면서 재를 넘어왔다.

“그 아그가 모병환이요. 울 아그가 참 훤허니 이빼. 지그 아버니 탁해서. 울 아그가 그래. ‘요새 같으문 아들 한나 믿고 안 살 것인디’. 만날 그래. ‘나는 아버니도 못 봤은게 어매는 오래 살아야 허요’ 그 말을 그리 해. 울 아그가 여간 극진해라.”

구순 어매가 ‘울 아그’라 하는 그 아들은 이제 예순아홉이 됐다.

 

▲ “내가 성질이 못앙겄어라. 오르락내리락 기다니요. 온 아칙에도 부삭에 불 땠어.”

 

지금 생각하면 친정아버지가 젊어서 혼자 된 큰딸을 그리 맘에 두고 사셨구나 싶다.

“시어마니하고 나하고 농사를 지슨디 쟁기질 해주라고 두째 동상을 보내. 태섭이여. 시째 현섭이도 가끔 온디 큰 동상은 일을 못헌께 안와. 지도 애린디 얼마나 잘 갈 것이요. 깔끄막 바슬(밭을) 삐틀빼틀 갈아놨다고 내가 한번은 빠마대기(뺨)를 부쳤는개비여. 시방도 웃으먼서 ‘아따, 매씨 손때 아프드만’ 그래.”

없는 살림에 소가 없으니 쟁기질을 하러 올 때는 동생들이 십리 길을 소를 끌고 왔다.

“신광서 오는 질에 순내라고 큰물이 있어. 날이 저물문 소가 안 건넬라고 그래. 무선께. 그러문 저짝에서 아바니가 딸딸 걷고 건네오셨다고 낭중에 동상들이 전헙디다. 아버니가 꼬삐 잡고 끄슨께 그때사 소가 가드라고.”

글 남인희·남신희 기자, 사진 박갑철 기자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