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온갖 역경 딛고 꿈 이룬 가수 김덕희 스토리

▲ 김덕희

이 글은 경기도 안성 당직골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4학년이 될 무렵 학교를 그만두고 남의 집 더부살이를 시작, 결국 가수로서 꿈을 이룬 김덕희가 쓰는 자신이 살아온 얘기다. 김덕희는 이후 이발소 보조, 양복점 등을 전전하며 오로지 가수의 꿈을 안고 무작정 상경, 서울에서 장갑공장 노동자, 양복점 보조 등 어려운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초·중·고 검정고시에 도전, 결실을 이뤘고 이후 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에 진학해 사법고시를 준비하다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가수 도전장을 내밀었고 결국 성공을 거뒀다.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하면서 라디오에서 나오는 송창식의 ‘왜불러’, 이은하의 ‘아직도 그대는 내사랑’을 들으며 가수가 되고 싶었어요. 그동안 고생도 많이 했지만 꿈을 이뤘다는 것이 너무 행복할 뿐입니다.”

<위클리서울>의 간곡한 요청에 결국 연재를 허락한 김덕희가 직접 쓰는 자신의 어려웠던 삶,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에 이르기까지의 얘기들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 그리고 모든 현대인들에게 귀감이 될 것이란 생각이다. 많은 성원 부탁드린다. <편집자주>

 

아버지는 성황당 나무 아래서 눈을 감고 한참을 무어라고 중얼거리시며 기도를 하셨다. 하긴 아버지의 그런 모습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장터에 나갈 때마다 그곳을 지나야 했고, 그때마다 아버지는 이날과 똑같이 기도를 하셨던 것이다. 하지만 이날만큼은 시간이 더 걸렸고 아버지의 표정은 한결 더 진지해 보였다. 아마도 내 앞날을 걱정하고 잘되기를 기도하시는 것이리라….

아버지 손에서 바둥거리던 꿩이 힘이 다 빠져버렸는지 어느새 고개를 아래로 축 늘어뜨린 채 잠잠해져 있었다. 멀리 죽산읍내가 눈에 들어왔다. 성황당 나무를 지나면서부터는 차들이 다니는 큰도로를 통해 읍내에 가야 한다. 버스들이 지나가면서 흙먼지 바람을 일으켰다. 한 번 지나갈 때마다 마치 작은 폭풍이 휩쓸고 간 듯 흙먼지가 자욱하게 일어 우리의 시야를 가렸다. 눈과 입을 가렸지만 몸까지는 가릴 수 없는 일. 흙먼지를 뿌옇게 뒤집어 써야만 했다. 아버지가 죽산읍내에 왕래할 때마다 좀 더 편한 큰 도로를 이용하지 않고 훨씬 멀고 힘든 산길을 이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

하지만 난 흙먼지를 뒤집어 쓰면서도 기분이 좋았다. 지나다니는 버스가 많아지는 걸 보면서 내가 드디어 이렇게 큰 도시에서 살게 되는 건가, 하는 생각에 가슴이 부풀었던 것이다. 버스가 일으키는 흙먼지는 나에겐 내가 살던 당직골을 벗어남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내가 좀더 큰 꿈을 이루기 위해 한 발 전진하는 매개체로 여겨졌던 것이다.

사실 걸어오는 내내 아버지는 단 한마디도 하지 않으셨다. 전날 저녁, 기술을 배우고 싶다는 내 얘기를 들으실 때도 마찬가지였다. 아침에도 그랬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난 걸어오는 동안 과연 아버지가 나를 어떤 곳에 소개시킬지 궁금하기 짝이 없었다. 나름대로 아버지가 죽산읍내 시장이 열릴 때마다 자주 들르시던 곳을 생각해 보았으나 마땅히 떠오르는 곳도 없었다. 그리고 잠시 뒤 그런 궁금증은 해소가 되었다.

마침내 죽산읍내에 도착했다. 죽산읍내 입구엔 버스 정류소가 있다. 바로 나를 데리러 오신 어머니와 죽으라고 실랑이를 벌이던 그곳. 그 때 일이 떠올랐다. 어머니는 그곳에서 버스를 타고 떠나신 후 다시는 나를 찾으러 오시지 않았다. 아버지는 버스정류소를 지나 찻길 옆 어느 가게 앞에서 발걸음을 멈췄다. 간판을 보니 이발소였다. 지금도 잊어버리지 않는 그 이름 `중앙이발관`. 낯이 익은 곳이었다. 예전에 아버지께서 장날 이곳에 나와서 이발을 하신 일이 종종 있었던 것이다. 나도 그곳에서 빡빡 머리를 깎았던 기억이 있다.

 

▲ 사진=pixabay.com

 

문을 열고 들어서니 나이 드신 노인 한 분과 30대 중반쯤 되어보이는 대머리 아저씨가 있었고, 손님 한 분이 이발용 의자에 앉아 머리를 깎고 있었다. 노인은 이발관 주인이었고 30대의 아저씨는 그 주인의 아들이었다. 이발관은 두 부자가 운영하고 있었고 둘 모두 안면이 있던 터였다.

아버지가 그 노인에게 인사를 건넸다. 노인은 아주 반갑게 아버지를 맞아 주셨다. 얼핏 봐선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해 보였는데 아버지가 그 노인에게 `형님`이란 호칭을 쓰는 걸 보니 몇 살은 더 드신 모양이었다. 중앙이발관은 5평 정도 됐다. 머리 깎을 때 앉는 의자가 5개, 벽면 구석에 앉아서 기다리는 길쭉한 의자, 창문 쪽으로 머리를 감겨주는 세면대가 있었고 중앙에는 머리 감겨 줄 때 쓰려고 따뜻한 물을 데우는 연탄난로가 있었다. 가장 먼저 내 눈에 들어온 건 언젠가 본 적이 있는 유리 벽면 구석 모퉁이 선반에 올라가 있는 텔레비전이었다.

아주 작은 흑백텔레비전이었지만 난 눈이 커졌다. 맞아, 이곳에 텔레비전이 있었어. 전에 아버지를 따라 이곳에 왔을 때 봤던 그 텔레비전이 분명했다. 무척 반갑고 신기했다. 내가 텔레비전으로 눈길이 쏠려 있는 사이 아버지와 이발소 주인아저씨는 아버지가 들고 온 꿩 얘기로 박장대소하였고 이발소 안이 웃음바다로 떠들썩했다.

잠시 후 아버지께선 내게 잠깐 기다리라고 말씀하시고는 노인과 잡아온 꿩을 가지고 밖으로 나가셨다. 그제서야 아버지가 이곳에 나를 취직시키려 하는 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꿩고기를 안주로 해 술을 한 잔 하시면서 내 얘기를 하시려는 모양이었다.  <다음에 계속>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