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에선 돈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는 사람은 없다
이곳에선 돈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는 사람은 없다
  • 이석원 기자
  • 승인 2018.08.20 1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리즈기획> 복지국가 스웨덴에서 살아보기 / 이석원

스웨덴의 한국인들 중 많은 이들은 스웨덴의 의료 서비스를 신뢰하지 못한다. 스웨덴에서는 병원에 가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도 쉽지 않고, 의사를 만나더라도 만족스러운 처방이나 치료를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스웨덴에 온 지 오래되지 않은 일부 한국인들 중에는 “스웨덴의 응급환자는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죽어야 한다”고 다소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응급실에 가더라도 의사의 진료나 치료를 받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아예 스웨덴에는 간호사는 있어도 의사는 없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 스웨덴 공공 의료의 시작은 보드센트럴이다. 보드센트럴의 대표 호출 번호인 1177은 스웨덴 사람들이 믿고 의지하는 국가 의료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웨덴 생활에 익숙하지 못한 한국 사람들이 스웨덴의 의료 시스템에 대해 불만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한국의 의료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그럴 수 있다. 그리고 객관적으로도 스웨덴의 의료 시스템은 한국의 의료시스템에 비해 불편한 것도 사실이다. 이는 스웨덴에 사는 한국인 뿐 아니라 한국의 의료 시스템을 경험한 스웨덴 사람들도 비슷하게 느끼는 것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스웨덴의 거의 완전한 공공 의료 시스템 때문이다. 물론 한국의 의료 시스템도 공공 의료 개념이다. 병원은 비영리 법인으로 운영된다. 다시 말해 병원을 운영하는 것은 사업성,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공의 이익을 궁극적으로 추구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스웨덴의 의료 시스템은 한국의 그것보다 더 확실한 공공의 개념이다.

스웨덴은 각 코뮌(기초자치 단체)의 보드센트럴(Vårdcentral)이 1차 진료기관이다. 그리고 대학 병원을 중심으로 한 종합병원이 있다. 보드센트럴을 굳이 한국과 비교하면 보건소지만 개념이 좀 다르다. 한국의 경우 기초자치단체에 속한 보건소보다는 전국에 수만 개 존재하는 개인 병의원이 1차 진료기관의 중심이라면 스웨덴은 보드센트럴이 1차 진료기관의 중심이다.

문제는 이 보드센트럴이다. 여기서도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예약 후 짧게는 두 달, 길게는 서너 달을 기다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간호사 진료가 전부다. 간호사도 전문 의료인이지만, 한국의 의료 시스템을 감안하면 온전한 의료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

게다가 간호사 진료라고 하더라도 약 처방이나 검사나 치료가 한국과 같지 않다. 감기가 심한 어린아이를 데리고 보드센트럴에 가는 경우 십중팔구는 “집에 가서 물 많이 마시게 하고, 옷도 많이 입히지 말고 열이 내려가게 하라”는 정도다. 약 처방이 없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아이가 열이 나고 아프다고 울고 있는 상태에서 이런 말을 듣는 엄마는 열불이 난다. 그렇게 하고도 200크로나(약 2만 4500원)의 진료비를 받는다.

그런데 앞서 언급했듯이 스웨덴의 의료 서비스는 완전한 공공 의료 개념이다. 모든 시민들에게 골고루 적용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제 아무리 부자라고 해서 스웨덴 내에 공공 의료에서 특별한 처방이나 케어를 받을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의료비에 있다.

스웨덴 시민이 아니더라도 우리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 번호(Personnummer)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가 적용받을 수 있는 의료 보험 혜택에서 개인이 1년에 병원에 내는 돈은 1100크로나(약 13만 4000원)다. 1100크로나까지 의료비를 낸 사람은 이후 어떤 치료를 받더라도, 그것이 심지어 뇌수술이나 심장 수술, 암 치료라도 무료다.

약도 상한선이 있다. 의사 처방 약인 경우 1년에 2250크로나(약 27만 5000원)이 상한선이다. 그 이상의 약값은 개인이 부담하지 않는다. 국가의 의료 보험에서 부담한다.

진료나 약 처방에서 ‘과잉’이 있을 수 없다. 딱 필요한 만큼만 치료나 검사를 하고, 약도 처방한다. 어차피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해봐야 상한선을 넘겨서 병원에 돈을 낼 필요가 없고, 필요 이상의 투약도 국가나 병원 입장에서는 낭비다.

 

▲ 스웨덴 최고의 의과대학인 카롤린스카의 대학병원. 국립대학의 대학병원이 각 지역의 보드센트럴을 총괄한다.

 

스웨덴 병원 의사였던 오정옥 박사는 “스웨덴의 의료 체계는 꼭 필요한 것을 모든 사람들에게 해 주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그는 “한국은 전 국민 의료보험이 시행되고 있지만, 암이나 중대 질병 등은 엄청난 치료비의 자기 부담금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서 의료 사각지대가 생각보다 크게 존재하지만 스웨덴에서 의료 사각지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실제 그는 한국에서 3000여만 원의 치료비를 자가 부담해야 하는 암 환자가 결국 치료를 포기한 경우를 봤다. 수술과 항암 치료, 투약 등에 드는 총 의료비용이 1억 원 가까이 드는 상황에서 의료보험이 보장해주지 않는 자기 부담금 3000여만 원이 없어서 병원이 치료를 거부했던 것이다. 반면 하루 입원비가 120만 원에 이르는 종합병원 특실에서 ‘좀 쉬다 가려는’ 목적으로 10일을 입원한 부유한 환자를 본 적도 있다.

그래서 스웨덴의 많은 한국인 교민들은 “스웨덴은 의료 지옥이 아니라, 모두가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합리적인 시스템”이라고 말한다. 당장 한국과 같은 치료를 받을 수 없는 것이 불안하거나 불만일 수는 있지만, 모두를 생각했을 때 스웨덴은 ‘돈이 없어서 치료를 포기하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실제 스웨덴에서 사는 한국인이라면 한국에서도 대체로 어느 정도 생활수준에 있던 사람이다. 즉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두를 위한’ 스웨덴의 의료 시스템이 ‘일부를 위한’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 비해 불편하게 생각될 수도 있다. 또 ‘남이 앓고 있는 암’보다 ‘내 자신이 앓고 있는 감기’가 더 중한 병인 것도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결국 의료라는 것은 모두를 위한 공공의 기능이 가장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원무과를 먼저 다녀오지 않으면 응급 수술도 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은 한국의 공공 의료는 진정한 의미의 공공 의료가 아닐 수도 있다. 병원이, 그 병원의 의사들이 보험 수가를 따져야 하고, 돈 버는 과와 돈 쓰는 과를 고려해야 하고, 돈 되는 환자와 돈 안 되는 환자를 구분해야 하는 것은 ‘진짜’ 공공 의료가 아닐 수 있다.

요즘 JTBC의 월화 드라마 ‘라이프’는 한국의 공공 의료와 스웨덴의 공공 의료를 비교할 수 있는 재밌는 드라마다. ‘라이프’를 보면서 한국 공공 의료의 현주소와 스웨덴 공공 의료를 비교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도 스웨덴의 공공 의료는 ‘진짜’ 공공 의료다. 모두가 누릴 수 있는 ‘특혜’인 것이다.

<이석원 님은 한국에서 언론인으로 일했습니다. 지금은 스웨덴에서 살고 있습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 뉴텍미디어 그룹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 07108 (등록일자 : 2005년 5월 6일)
  • 인터넷 : 서울, 아 52650 (등록일·발행일 : 2019-10-14)
  • 발행인 겸 편집인 : 김영필
  • 편집국장 : 선초롱
  • 발행소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목로 72(신정동)
  • 전화 : 02-2232-1114
  • 팩스 : 02-2234-8114
  • 전무이사 : 황석용
  • 고문변호사 : 윤서용(법무법인 이안 대표변호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주리
  • 위클리서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05 위클리서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weeklyseoul.net
저작권안심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