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온갖 역경 딛고 꿈 이룬 가수 김덕희 스토리

 

김덕희
김덕희

이 글은 경기도 안성 당직골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4학년이 될 무렵 학교를 그만두고 남의 집 더부살이를 시작, 결국 가수로서 꿈을 이룬 김덕희가 쓰는 자신이 살아온 얘기다. 김덕희는 이후 이발소 보조, 양복점 등을 전전하며 오로지 가수의 꿈을 안고 무작정 상경, 서울에서 장갑공장 노동자, 양복점 보조 등 어려운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초·중·고 검정고시에 도전, 결실을 이뤘고 이후 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에 진학해 사법고시를 준비하다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가수 도전장을 내밀었고 결국 성공을 거뒀다.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하면서 라디오에서 나오는 송창식의 ‘왜불러’, 이은하의 ‘아직도 그대는 내사랑’을 들으며 가수가 되고 싶었어요. 그동안 고생도 많이 했지만 꿈을 이뤘다는 것이 너무 행복할 뿐입니다.”

<위클리서울>의 간곡한 요청에 결국 연재를 허락한 김덕희가 직접 쓰는 자신의 어려웠던 삶,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에 이르기까지의 얘기들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 그리고 모든 현대인들에게 귀감이 될 것이란 생각이다. 많은 성원 부탁드린다. <편집자주>

 

잃어버린 돈. 난생 처음 겪는 일이다 보니 충격은 더욱 컸다. 큰 돈이었다. 1500원이었지만 월급 한 푼 받지 않는 나에겐 정말 소중한 돈이었다. 게다가 그는 이발소에서 하루종일 손님들에게 받아 모아놓은 돈까지 갖고 달아났다. 그리고 그게 다가 아니었다. 이발소 주인장의 아들은 엉뚱하게도 돈 잃은 화풀이를 나에게 하는 것이었다. 뭐, 평상시에도 그 아들은 나를 못부려 먹어서 안달이 날 정도였다. 주인장과는 천지차이였다. 껄끄러울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엎친데 덮친격으로 이발소에 불이 나는 사건이 일어났다. 가을이 막 시작되고 있을 무렵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다음날이 죽산읍내 장날이어서 지저분한 이발소 내부를 새롭게 단장해야겠다며 주인장 아들이 함께 페인트칠을 하자고 했다. 나는 페인트칠하는 솔을 만지작 거리며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주인장 아들이 난로 앞에서 페인트에 휘발유를 섞다가 그만 휘발유 통이 넘어지면서 난로에 불이 옮겨붙어 순식간에 이발소 안이 화염에 휩싸이고 만 것이다.

불이 나기 전에 나는 이상하게도 어질어질하면서 예감이 이상해 잔뜩 긴장하고 있었다. 그 순간 불이 붙었고 냅다 창문을 열고 밖으로 뛰어나왔다. 곧이어 주인장 아들도 이발소 밖으로 뛰쳐나왔다. 이발소 맞은 편에 석유 파는 집이 있었는데 그곳에 조그만 소화기 한 대와 쌓아둔 모래주머니가 있었다.

불이 번지자 모래주머니도 가져다 뿌리고 소화기도 가져다 사용했지만 불길을 잡기엔 어림 없었다. 잠시 후에 소방차가 달려와 겨울 불길을 잡았다.

하지만 이발소 안은 이미 불에 타서 엉망진창이 돼 있었다. 아직도 연기가 폴폴 나는 이발소 내부를 허탈하게 바라보고 있던 주인장이 나에게 청소를 하라고 했다. 내일이 읍내 장날이라 손님이 많을 것이니 어떻게 해서라도 영업을 할 수 있도록 청소를 하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날 밤새도록 불을 끄느라 여기저기 뿌려진 모래들을 쓸어내고, 불에 탄 집기들을 닦아내고 했다. 겨우 거울과 의자에 잔뜩 묻은 그으름을 닦아내고 단장을 해 다음날 장나라에 손님을 받을 수 있었다.

 

사진=pixabay.com
사진=pixabay.com

 

그런데 정작 문제는 그 이후였다. 그 주인장 아들이 마치 내가 불을 낸 것처럼 말하며 나를 혼내는 게 아닌가. 웃기지도 않을 일이었다. 분명히 자기가 페인트를 휘발유에 섞다가 휘발유 통이 넘어지면서 불이 붙은 것이었는데 말이다. 그런데 전혀 상관이 없는 내가 잘못해서 불이 난 것처럼 자기 아버지에게 얘길 하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억울하기도 했다.

그렇지 않아도 월급도 안주고 해서 마음에 쌓인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는데 그 일 이후로 꼭 필요한 얘기 외에는 한동안 입을 다물고 지냈다.

중국 음식점에서 자장면 배달을 하던 친구가 안성으로 일터를 옮기게 되었다고 했다. 그래도 죽산 읍내에서 유일하게 친하게 지내던 친구와 헤어지게 돼 무척 아쉬웠다. 말리고 싶었지만 조금 더 조건이 좋은 곳으로 옮기는 터라 그럴 수도 없는 일이었다. 죽산에서는 한 달에 1만원의 월급을 받았는데 안성에서는 1만5000원을 받기로 했다며 그 친구는 좋아했다. 그 친구가 죽산보다 더 넓은 도시에서 더 많은 월급을 받으면서 일하게 된 그 친구가 무척 부러웠다.

그 친구는 더 좋은 조건으로 발전해 가는데 월급도 받지 못하고 항상 그대로인 내 모습이 싫었다. 자기의 삶을 변화시켜 가는 친구의 모습에 자극을 받은 나는 월급을 주든 안주든 주인장에게 일단 말이라도 해봐야겠다고 마음을 다잡아 먹었다.

그런 결심을 하고 나니 심장이 마구 뛰면서 손에 일이 잡히질 않았다. 그런 상태에서 며칠간을 정신없이 보내야 했다. 내 권리를 찾겠다고 난생 처름 시도해보는 일인지라 결심만 했지 정작 말은 못하고 눈치만 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던 차에 죽산 장날이 다시 돌아왔다. 여느 때처럼 분비는 손님 때문에 정신 없이 하루를 보내야 했다. 저녁이 되어 일을 마친 후 주인장 아저씨가 장날만큼은 늘 그랬듯 오늘 하루 수고했다며 200원을 내 손에 쥐어주었다. 나는 200원을 손에 쥔 채 떨리는 음성으로 입을 열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