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판권 지음/ 문학동네

 

우리나라 한국 산중 사찰은 자연생태와 인문생태의 보고다. 1부에서는 보은 법주사 오리숲, 합천 해인사 소나무숲, 영천 은해사 소나무숲 등 사찰과 함께한 숲을 소개한다. 법주사는 갈참나무의 모습이 웅장하며, 계곡에는 물억새, 벚나무, 물푸레나무가 어울려 산다. 해인사로 가는 길은 소나무숲길로, 길가에서 간혹 호랑이 무늬 껍질이 아름다운 노각나무를 볼 수 있다. 은해사로 들어가는 길목에는 느티나무 가지가 굴참나무로 다가가 서로 만난 연리지가 있다. 사찰을 둘러싼 숲은 사람들에게 마음을 정화하는 장소를 제공하고 각종 문화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다. 사찰과 어우러진 숲은 박물관의 유물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그 자체로 값어치 있는 자연박물관이다.

역사를 간직한 숲은 자연생태와 인문생태를 모두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화성 융릉과 건릉은 울창한 숲에 조성돼 있다. 정조는 원통하게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를 생각하며 왕릉 주변의 소나무를 극진히 보호했다. 사도세자를 그린 정조의 애틋한 사랑 덕분에 우리는 아름다운 숲을 만날 수 있게 됐다. 한편, 한국의 조영은 건축물만이 아니라 자연생태까지 포함한다. 종묘는 그 자체로 거대한 숲이다. 종묘의 건축물과 더불어 숲은 그 어떤 공간보다 신성하다. 종묘는 죽은 사람을 위로하는 공간이기에 건물과 담에는 화려한 꽃이 피는 나무와 풀을 장식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숲 곳곳은 생생한 역사의 현장으로 남아 있다. 경주 계림은 신라시대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난 곳으로 전해진다. 숲에서 닭 울음소리가 들려 가봤더니 나뭇가지에 걸린 금궤 안에 사내 아기 김알지가 있었다고 한다. 함양 상림은 최치원이 조성한 최초의 인공 숲으로, 신라시대 위천의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상림은 무려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원형에 가깝게 현장이 보존된 숲이다. 횡성 청태산 잣나무숲은 이성계가 휴식하면서 횡성 수령에게 점심 대접을 받은 곳이다. 그는 이곳의 아름다운 산세에 반하고 큰 바위에 놀라 청태산靑太山이란 휘호를 직접 써서 횡성 수령에게 하사했다고 한다. 제주 절물자연휴양림에 있는 시오름주둔소는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당했던 제주 4·3 사건 당시의 상흔을 증언하고 있다.

숲 애호가 강판권의 숲 음미법을 따라해보는 건 또다른 재미다. 숲길은 곧다고 해서 꼭 직선으로 걸어가거나 앞만 바라보면서 걸어갈 필요가 없다. 숲길을 나무의 나이테 그리듯 둥글게 걸어가는 방법들이 있다. 나무를 올려다보면서 걸으면, 나무 사이로 파란 하늘을 바라보는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또 햇살이 나무 사이로 겨우 비집고 들어오는 빽빽한 숲에서는 나무 그림자만 밟으면서 가는 방법도 있다. 나무들은 삶이 힘들 때 그림자를 만들어 친구들의 어깨에 살짝 기대는 것일지도 모른다. 천천히 숲길을 걸으면서 자주 뒤를 돌아보면 애초부터 앞뒤가 없는 식물을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다. 이렇게 길을 가면서 나무들의 삶을 보면 내 삶도 돌아보게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