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몽 루셀 지음/ 송진석 옮김/ 문학동네

 

1933년 팔레르모의 한 호텔에서 유언장과 더불어 주검으로 발견되기 전까지, 레몽 루셀은 작품을 발표하는 족족 세간의 야유와 조롱에 휩싸여 신경증에 시달리던 무명 작가였다. 막대한 유산 덕에 감히 상상도 못할 사치와 풍요로 제 인생 자체를 초현실적 작품으로 가꿔낸 희귀 작가 루셀. 세상은 그가 죽은 어머니를 방부처리하고 관뚜껑에 유리창을 내어 마지막 순간까지 두고두고 그 얼굴을 봤다든가, 로마를 지날 때면 교황과 무솔리니마저 혹할 정도로 살롱과 침실과 부엌은 물론 운전수와 하인들 방까지 갖춘 대형 캠핑카 같은 이동식 주거차량을 끌고 다녔다든가, 동성애자 정체성을 눈속임하기 위한 알리바이로 죽기 전까지 샤를로트 뒤프렌과 어딜 가든 동행했다든가, 세상에 없는 글자 하나를 인쇄해내기 위해 어마어마한 돈을 식자공에게 지불해 책을 제작하게 했다든가 하는 것들에 더 눈을 흘겼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그는 생전에 어느 누구보다 문학에 제 삶을, 정신을, 부를 탕진한 작가였다. 초현실주의자와 다다이스트, 누보로망 및 울리포 작가들, 구조주의자와 해체주의자들에게, 루셀의 작품은 영감과 사유의 촉매제였다. 일례로 “내가 한 번도 본 적 없는 걸 만들어낸 루셀. 나는 내 정신의 도서관에 루셀 전작을 구비해두려 한다”고 말한 마르셀 뒤샹은, 1912년 연극으로 각색된 '아프리카의 인상'을 앙투안극장에서 본 후 이 작품에 영감받아 '그녀의 독신자들에 의해 발가벗겨진 신부'라는 일명 ‘대형 유리’ 추상화 설치작품을 제작했다.

하나 루셀이 되살아난 건 사후 30년이 지나서였다. '아프리카의 인상'(1909) 초판이 다 나가는데 22년이 걸렸다며 자조하던 루셀이 1933년 죽고, 1963년 미셸 푸코가 평전 '레몽 루셀'을 출간하면서 컴컴한 무명 속에 있던 루셀의 책들이 재출간되는 기염을 토했다. 루셀이 자신의 문학세계에서 펼친 새로운 ‘기법procédé’이 문학작품과 글쓰기의 기원을 ‘언어’에 두고 있음을 살핀 푸코의 글 말고도, 앙드레 브르통, 미셸 뷔토르, 쥘리아 크리스테바 등 여러 문인이 루셀의 문학세계에 매혹당해 글을 썼다. 

낯설고 다양한 기예공연 같은 이 소설은, 기법으로 그려나간 언어 속에 깃든 세상의 낯섦과 환상적 실재에 다가가도록 독자를 진진한 이야기 세계로 이끈다. 이 책을 옮기고 작가를 연구한 불문학자 송진석은 “루셀의 기법이 새로운 것은, 천재적 영감 대신에, 임의로 선택한 단어에서 작품의 기원을 찾고 또 필요한 질료를 얻어낸다는 사실 때문이다. ‘보편적 영광’을 꿈꾸던 루셀이 신비의 베일을 찢으며 작가와 작품을 평범과 우연의 차원으로 끌어내리고 있다”며 루셀 문학의 독창적이고 공평한 무한상상의 지평으로 안내한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