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욱 지음/ 문학동네

 

김경욱의 여덟번째 소설집 '내 여자친구의 아버지들'이 출간되었다. '소년은 늙지 않는다'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신작 소설집이다. 김경욱은 1993년 '작가세계' 신인상에 중편소설 '아웃사이더'가 당선되어 등단한 이래로 한국일보문학상,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김승옥문학상,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자신만의 소설 영역을 구축해왔다. 일찍이 “진화하는 (소설) 기계”(문학평론가 서영채)라는 평을 들었을 만큼 한순간도 작가적 긴장을 놓치지 않고 삶의 한가운데로 파고드는 섬세한 발걸음으로 꾸준히 기억에 남는 작품들을 써온, 늘 진일보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가다. 이제 여덟번째 소설집을 펴내며 그는 ‘작가의 말’을 통해 “8번에게 풀 스윙은 언감생심”이라고 몸을 낮췄지만, 그의 여덟번째 타자가 풀어내는 아홉 편의 다채로운 소설들은 우리에게 ‘사이클링 히트’의 짜릿한 쾌감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표제작인 '내 여자친구의 아버지들'은 김경욱표 소설쓰기의 정수를 잘 보여주는 수작이다. ‘나’는 스물아홉번째 면접시험장에서 다섯 명의 중년 남성 면접관들과 마주하는 순간 옛 여자친구의 아버지들을 떠올린다. “만약 성전환수술을 받는다면 맨 먼저 뭘 하고 싶습니까?”라는 “별 거지 같은” 면접관의 질문에도 “여자가 되어서도 이 회사에 지원할 겁니다”라고 답하며 “똥구멍까지 핥아줬건만” 돌아오는 것은 “딱하다는 눈빛”과 “값싼 동정의 기색”뿐. 세번째 여자친구의 아버지가 떠오른 것도 바로 이 질문을 들었을 때다. 여자친구의 집에서 여자친구와 단둘이 시간을 보내던 ‘나’는 “동남아 골프 여행을 떠나 내일이나 귀국한다던” 여자친구의 아버지와 갑작스레 맞닥뜨리게 되고, 뜻밖에 시작된 그와의 대작은 ‘나’의 사타구니께로 들어온 그의 손과 함께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는데… 자존감을 버리고도 끝내 면접관의 눈에 들지 못하고, 여자친구의 아버지에게도 부당한 추행을 당하며, 그러고도 도리어 여자친구에게까지 면박을 들을 수밖에 없는 ‘나’의 어쩔 수 없는 ‘찌질함’을, 속물근성과 허위로 가득한 우리 시대의 씁쓸한 풍경에 덧대어 김경욱만의 의뭉스럽고 풍자적인 문장으로 그려낸다.

김경욱 소설의 ‘의뭉스러움’은 '양들의 역사'에 이르러 더 뚜렷해진다. 무엇 때문인지 일본인으로 자주 오해받던 ‘나’는, 일본 출장에서 돌아와 타게 된 택시에서도 자신을 일본인이라 착각하는 기사에게 장난기가 발동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일본인 행세를 한다. 기사의 일본어 수준을 평가하기도 하고 그가 들려주는 아리송한 이야기, 그러니까 영종대교 97중 교통사고에서 살아남았고,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가까스로 비껴갔으며, 한국전쟁에서 형 대신 목숨을 건졌다는 이야기를 자신이 즐겨 했던 거짓말, 즉 “가공의 삶을 진짜처럼 만드는 디테일”에 빗대어 사실인지 거짓인지 가늠해본다. 시종 흥미롭지만 알쏭달쏭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기사와, 그의 이야기를 끝내 의심하며 듣는 ‘나’의 위태로운 ‘외줄 타기’를 통해 삶의 진실과 비밀이 결국 하나의 줄기에 들어 있음을 서늘하게 드러내 보여주는 작품이다. 세세하게 이야기하는 것만이 아니라 설득력 있게 이야기하는 것이야말로 소설에 필요한 디테일임을 떠올려볼 때, 몰입해서 읽지 않을 수 없는 김경욱 소설의 디테일이 이제는 완숙한 경지에 이르렀음을 확인하게 된다.

소설이 끝난 이후에 이어질 이야기를 어느 쪽으로도 짐작해볼 수 있게 하는 열린 결말이 지금까지 김경욱 소설의 특징이었다면, '고양이를 위한 만찬'은 소설이 끝나는 지점에서 더이상 무엇도 할 수 없게 만드는 작품이다. 오직 식탁을 차리고 있는 부부의 대화로만 진행되는 이 소설은, 부부가 쫓기듯 미국으로 이민을 올 수밖에 없었던 사정을 아프게 드러낸다. 서로를 경멸하는 듯하면서도 자신의 생사마저 상대방의 결정에 내맡길 정도로 부부는 헤아리기 힘든 고통을 함께 견뎌내고 있다. 그래서 “우리 애가 살아 있다면 그 또래겠구나. 현장체험학습만 안 갔어도, 컨테이너에서 자고 있지만 않았어도, 소방차만 제때 도착했어도, 탈출하라는 안내만 있었어도 저기 앉아서 내가 만들어준 잡채를 입안 가득 오물오물하고 있겠구나” 하는 아내의 말 앞에 누구도 함부로 입을 떼기 어려운 것이다. 소설을 읽고 나면 오직 우리가 터무니없는 사고로 생때같은 아이들을 잃었다는 자명한 부끄러움만이 남는 까닭이기도 하다. 그간의 김경욱 소설의 지적이고 건조한 분위기와는 다르게 조금 더 직접적이고 밀도가 높지만, 그래서 한층 더 새롭고 인간적으로 느껴지는 작품이다.

'밤낚시' 역시 고등학교 동창인 세 중년 남자가 하나의 사건을 각자의 방식으로 기억하며 생겨나는 오해와 갈등, 그럼에도 그 기억들을 붙들고 현재를 살아가야 하는 삶의 지난함을 생생하고 손맛 좋은 문장들로 능청스럽게 풀어낸다.

노트북 수리 기사를 스토커로 의심하는 여자친구를 통해 여성에게만 손쉽게 가해지는 위협과 차별의 문제를 추리소설처럼 속도감 있는 이야기로 그려낸 '매우 그렇습니다', 전직 소설가가 인공지능 컴퓨터의 의뢰를 받아 소설을 고쳐 써준다는 흥미로운 설정을 통해 소설의 의미를 되묻는 '수학과 불', 그리고 1972년 어느 봄밤, 알 수 없는 장소에 감금되어 ‘VIP’에게 보고할 문서를 대필하게 된 ‘필경사 조풍년’의 이야기(「필경사 조풍년」)를 따라 읽다보면, 김경욱이라면 어떤 이야기라도 조였다 풀었다 하며 자유자재로 써낼 수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또한 소설집의 마지막 작품이자 “한국의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노인과 병과 죽음 그리고 가족공동체의 해체 등, 여러 겹의 문제들을 한데 응축시켜놓고 그 현재와 미래를 응시”(‘대상 수상작 선정 이유’)했다는 평을 들으며 제40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천국의 문'에 이르러서는 ‘소설 기계’라는 김경욱에 대한 찬사가 허사가 아님을 체감할 수 있다. 정교하고 치밀한 기존 김경욱 소설의 색채를 잃지 않으면서도 유연한 장난기까지 더해진, 좀더 진일보한 김경욱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이번 소설집은 줄곧 김경욱 소설을 따라 읽어온 독자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김경욱을 몰랐던 독자들의 ‘김경욱 입문서’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