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원 지음/ 글항아리

[위클리서울=이주리 기자]

'미래 공부'는 미래 예측의 근육을 단련하기 위한 책이다. 그렇다면 4차산업 혁명이나 인공지능이 주제일까? 아예 배제하는 건 아니지만 이들이 핵심 주제는 아니다. 미래 예측 시나리오를 각자 그려볼 수 있도록 목표를 삼되 현재의 문제를 더욱 분명히 보도록 훈련하는 데 집중한다. 게다가 ‘과거’를 인식하는 방식도 주요한 툴로 다룬다. 미래 공부는 기존의 관행적인 자신을 끊임없이 되돌아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학문으로서의 역사가 길진 않지만 미래학은 폭넓은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기업이나 개인 모두 생존 가능성에서 자유롭지 않은 요즘 가장 필요로 하는 무기는 ‘예측력’이다. 미래학은 ‘미래-현재’를 대하는 각자의 태도나 시나리오 예측법에서 어떤 미래로 나아갈지 그림을 그려 보인다. 그러면서 그 가치관이 생존에 도움되는 것인지 점검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테면 ‘강자’들은 미래 생존력이 높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들은 미래를 예측할 필요가 없으니 적응력을 키우지 않는 반면, 흐름을 잘 타야 하는 약자들은 오히려 유연한 몸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세대론을 앞세우려는 건 아니지만 이 책은 젊은층에게 좀더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다. 지금 젊은이들이 맞는 미래는 ‘성장’이라는 단일한 목표로 통합되지 않을 텐데, 이 책은 “미래가 단일하지 않고 여러 개”임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저성장 시대에 생존 기술은 필수인데 그런 기술을 배우도록 한다. 윗세대는 가진 자산 규모와 상관없이 누구든 얼마간의 성장을 경험했고 부모 세대보다 더 나은 삶을 맞이했다. 기계가 자기 일자리를 뺏을 위험도 덜 겪은 터라 지금 세대는 질적으로 다른 상황에 처해 있다. 

이 책은 어두운 전망보다는 기대를 품게 하는 미래들을 제시한다. 특히 기술적 근거하에서 이뤄지는 작업이기에 신뢰성을 높인다. 이 책을 공부하다가 미래에 도태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제가끔의 현실에서 맞는 자기주도형 미래를 알려주는 것으로, ‘따라하기식’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 자기 자신만큼 타인도 예민하게 알아차리는 것도 중요하다. 다른 사람의 삶과 욕망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미래를 예측하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미래학 1세대 학자인 짐 데이터에게 배운 저자는 ‘참여하는 미래학’에 방점을 찍고 독자들을 미래의 세계로 이끈다. 청년 시절의 불안과 좌절은 그를 미래학으로 안내했고, 이는 다양한 시민과 함께 미래상을 이야기하고 시나리오를 확장하는 독특한 이론을 탄생시켰다. 그리하여 여러 저명한 단체에서 우수논문상을, 2017년에는 세계미래학연맹으로부터 ‘탁월한 젊은미래학자상’을 수상했다. [미래 공부]를 통해 현실을 직시하고 불안한 미래를 당당하게 맞이하려는 독자들에게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미래 예측은 변화를 앞서 이해해 그에 대응할 뿐 아니라 필요한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것이며 변화를 일으키려면 지배적인 시각에 저항해야 한다고 말이다. 그렇지 않으면 내일은 오늘의 반복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