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교 지음/ 문학동네

ⓒ위클리서울/ 문학동네

[위클리서울=이주리 기자]  장편소설 '결혼은, 미친 짓이다'로 제24회 오늘의작가상을 수상한 작가 이만교의 신작 장편소설. 2009년 1월 20일, 부당한 재개발 보상 정책에 반발하던 용산4구역 철거민들을 무장한 경찰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화재로 6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있었다. 이 소설은 바로 그 ‘용산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사건의 한가운데로 ‘임한기’라는 가공의 인물을 들여보내면서 진행된다. 평범한 대학생이던 ‘한기씨’가 왜 재개발 철거 현장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존재를 잃어야 했는지, 그에 대해 회고하는 인터뷰이 66명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우리가 잊었거나 애써 잊고자 했던 ‘그날’의 진실을 파헤친다.

이만교는 자신의 첫번째 장편소설이자 동명의 영화로도 만들어진 '결혼은, 미친 짓이다'를 통해 결혼과 사랑에 대한 우리 사회의 속물성과 경직된 엄숙주의를 속도감 넘치는 문장으로 풍자한 바 있다. 이어 또다른 장편소설인 '머꼬네 집에 놀러올래?'에서도 IMF 사태 이후 한국사회의 어두운 일면을 한 일가의 가족사에 덧대어 생생하고 경쾌하게 드러내 보여주었다. 우리 사회가 처한 현실의 문제를 그리는 데 일가견이 있는 작가는, '예순여섯 명의 한기씨'에 이르러 사회적 위치나 이권에 따라 다툼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도시재개발 현장의 구조적 모순과 그 모순성에 의탁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소시민들의 삶을 거침없고 솔직한 문장으로 그려낸다. 소설은 신문기자 ‘이만기’가 한기씨의 주변 인물 66명을 인터뷰하고 그것을 연재하는 형태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소설의 형식이 이들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귀담아듣게 만드는 탁월한 역할을 한다.

평생 일궈온 자신의 터전을 헐값에 넘겨야 하는 세입자들과 그들의 절박한 사정을 이용해 어용 대책위를 만들어 회비를 뜯어가는 지역 건달들, 시공사와 계약을 맺고 정해진 기한 내에 철거를 마치기 위해 비열한 방법으로 세입자들을 압박하는 정비업체 용역들, 조금의 보상금이라도 더 받기 위해 연대를 저버리는 사람들, 시공사의 눈치를 보며 철거민들을 외면하는 경찰, 그리고 그곳을 무표정한 얼굴로 지나치는 사람들까지…… 소설은 각자가 처한 사회적, 경제적 위치에 따라 행동과 발언이 달라지는 세계의 작동 원리를 재개발 현장이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서 신랄하게 드러내 보인다. 특히 온갖 저열한 방법으로 철거민들을 괴롭히는 용역들조차 자신들의 행동을 합리화하는 장면을 통해서는 타인의 권리나 영역을 침범하지 않고선 자신의 이익을 차지할 수 없는 재개발사업과 사회구조의 불합리성을 뼈아프게 묘사한다.

작가가 선명하게 지적하듯, 용역들 뒤에는 경비업체가, 경비업체 뒤에는 정비업체가 있고, 정비업체 대표는 구청장과 향우회 회장, 부회장 사이이며, 이들 뒤에는 재벌 시공사가 버티고 있는 거대한 권력의 연쇄작용은 상대적 약자인 개인들에게는 크나큰 폭력으로 작동하며, 그 폭력성 앞에서 자신의 의지와 정체성을 제대로 발현하기란 쉽지 않다. 한기씨와 함께 연대하던 철거민들이 인터뷰에서 그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대목들은 타인에 대한 판단이나 기억 또한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편집되고 왜곡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용산 참사 10주년을 맞이한 올해, 이만교는 많은 사람이 잊고 있던 사건을 끄집어내 재조명한다. 안타까운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고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그날의 멈춤에서 더 나아가지 못했고, 오히려 그날에 대한 기억을 애써 외면함으로써 자신의 것을 보전하는 데 급급한 것은 아닌지 날카롭게 되묻는다.

다만 작가는 어둡고 절망적인 분위기가 아닌 특유의 간결하고 속도감 있는 문장으로 이야기를 풀어냄으로써 소설적 긴장과 재미를 놓치지 않는다. 한기씨의 정체를 특정하지 않고 끝내 그의 시신마저 사라지게 만들면서, 마지막까지 마음을 졸이며 소설을 읽도록 만드는 추리소설적 설정도 흥미롭다. 오랜만에 만나는 그의 신작이 이토록 섬세하고 활달하다는 것은 그가 현실의 문제와 소설쓰기에서 한순간도 멀어지지 않았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반가운 것은, 이 소설이 자주 소외되곤 하는 재개발 현장의 현실을 르포로도 손색없을 현장감 있는 언어로 되살려내고, 동시에 용산 참사의 진실을 다시금 되새겨보게 하는 보기 드문 성취를 이룬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