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베일리 지음/ 박찬원 옮김/ 아트북스

ⓒ위클리서울/
ⓒ위클리서울/ 아트북스

[위클리서울=이주리 기자] 빈센트 반 고흐는 1889년 5월 8일부터 1890년 5월 16일까지 374일 동안 남프랑스 아를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생레미 마을 외곽에 위치한 생폴드모졸 정신 요양원에서 지냈다. 1888년 12월 23일, 고갱과의 격렬한 말다툼 이후 자신의 귀를 절단하는 자해 사건이 있은 지 약 반년이 지난 시점에 반 고흐는 여러 차례 발작과 정신적 혼란 상태를 겪으며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불안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그 사이 아를의 이웃들은 점점 더 반 고흐에게 적대적이 되어갔고, 반 고흐는 자신의 인생에서 중대한 결정을 내린다. 바로 정신 요양원에 스스로 입원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반 고흐의 삶을 그가 살며 일한 곳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눈다. 1889년 5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를 반 고흐의 ‘생레미 시기’라고 부르지만, 지은이 마틴 베일리는 이는 정확한 명칭이 아니라고 말한다. 요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반 고흐는 생레미 마을에 거의 가지 않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요양원과 인근 자연 풍광을 그리며 생활했기 때문이다.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은 이 고독한 안식처에서 화가가 어떤 사람들과 지내며, 그 절망의 시간 속에서도 붓을 놓는 법 없이 그림을 그려나가, 종국엔 「별이 빛나는 밤」 「아몬드꽃」과 같은 걸작을 남길 수 있었는지, 그 과정을 집중 조명한다.

책은 1889년 4월 테오와 요하나 봉어르의 결혼 소식으로 시작한다. 한해 전 아를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은 빈센트가 예술가로서 새로운 삶을 찾고자 한 남쪽의 스튜디오를 정리하고 자발적으로 정신 요양원에 입원하기로 결심한 바로 그 시점이다.

반 고흐가 입원을 하게 된 곳은 아를에서 불과 15킬로미터 떨어진 생레미 인근 생폴드모졸이라는 사립 요양원이었다. 그곳은 다른 공립 요양원과 달리 환자 수가 적었고, 비교적 자율적인 생활환경을 제공했으며, 담장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정원이 있는 곳이었다. 반 고흐는 아를의 사제 살 목사와 함께 1889년 5월 8일 길을 나섰고, 입원 수속을 마친 후 병실을 배정받고 짐을 풀었다. 비록 창살이 시야를 막는 작은 창이었지만, 그 아래 펼쳐지는 초록 밀밭과 근사하게 자란 나무들이 마음에 평온함을 안겨주었다.

생폴에서 지낸 1년 동안 반 고흐의 예술에 주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다. 아를 시기의 생동감 넘치던 색채가 차분하게 가라앉지만, 붓질은 더욱 힘차져 그만의 독특한 소용돌이치는 물결 같은 선들이 이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반 고흐는 의심의 여지없이 예술을 향한 열정을 통해 요양원 생활을 견뎠다. 작품에 열중함으로써 치욕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목적의식을 가지고 역경을 참아낸 것이다. 정신질환이 심해짐에 따라 작품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으리라 추측하는 이들도 있고, 실제로 전혀 그림을 그리지 못했던 기간도 분명 몇 주간 있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작품 중에 정신 불안의 증거를 감지할 수 있는 그림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생폴에서 지낸 시간 대부분 동안 그는 명징하고 차분한 상태를 유지했다. 그가 대단히 생산적이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소실된 작품 10~20여 점을 제외하더라도 150점이 넘는 그림이 현재에도 남아 있는데, 이는 이틀에 한 점 꼴로 그려야 가능한 경이로운 작품 양이다. 반 고흐의 작품 가운데 걸작으로 꼽히는 「아이리스」「별이 빛나는 밤」 「사이프러스가 있는 밀밭」 「아몬드꽃」 「소용돌이치는 배경의 자화상」이 모두 이 시기에 그려진 것들이다.

지은이 마틴 베일리는 1987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빈센트 반 고흐가 지나온 발자취를 따라가며 끈질긴 연구를 해온 반 고흐 전문가다. 책에는 그가 수십 년간 연구한 끝에 찾아낸 화가에 대한 새로운 사실과 이를 뒷받침할 자료, 컬러 사진 등을 풍부하게 실었다. 특히 생폴드모졸요양원 내부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오늘날, 지은이는 건물 안으로 들어간 몇 안 되는 반 고흐 전문가이고, 건물 내부 촬영 허가를 받아 반 고흐 관련 문헌 최초로 컬러 사진을 실었다.

또한 생레미 시립기록보관소에서 19세기 말 생폴요양원의 환자 입원 기록을 확인해 책에 실었을 뿐 아니라, 이 기록을 통해 반 고흐가 ‘불행한 나의 동료들’이라고 부른 다른 환자들에 대해서도 연구했고, 이들 환자들에 대한 조사는 반 고흐가 생활하던 시기의 요양원 상황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반 고흐의 전기 작가들이 화가가 남긴 편지에만 의존해 생폴요양원에서의 삶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음에 따라 누락된 정보를 보충해줄 뿐 아니라, 반 고흐의 삶과 예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마틴 베일리의 조사에 따르면, 반 고흐가 입원한 시점에 요양원에는 18명의 남성 환자들이 있었다. 지은이는 이들 대부분의 이름과 병명을 확인했고, 반 고흐가 편지에 드물게 언급한 동료 환자들의 이야기 속 주인공을 유추한다. 마틴 베일리의 연구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반 고흐가 생폴 시기에 그린 초상화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인정받는 「정원사」의 실제 주인공이 누구인지를 밝혀낸 사실이다. 그의 이름은 장 바랄이고, 빈센트가 요양원에 있던 시기에 스물여덟 살이었으며, 농지를 경작하면서 생폴에서 틈틈이 정원사로 일했을 가능성이 있는 인물이다.

마틴 베일리는 또한 「별이 빛나는 밤」을 둘러싼 몇 가지 흥미롭고 놀라운 사실도 밝혀냈다. 먼저, 화가가 밤하늘을 그리던 그날의 풍경을 영국 왕립천문대에서 확인한 지은이는 「별이 빛나는 밤」이 어느 특정 시간, 특정 장소의 풍경을 그린 것이 아니라, 수많은 밤하늘을 바라본 화가가 상상력에 의지해 새롭게 창조한 세계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놀랍게도 이 그림을 본 테오는 그림이 지나치게 장식적이라며 혹평을 하는데, 반 고흐 형제의 사망 이후「별이 빛나는 밤」은 10년 동안 전시되지 않았고, 그동안은 매우 제한적인 사람들만이 볼 수 있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