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매립 의류 22만 톤 달해, 재고 없는 원단 사용 등 선례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호주에서 폐기되는 의류를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전국 의류 관리제도(National Clothing Stewardship Scheme)를 시행할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ABC뉴스는 호주에서 ‘전국 의류 관리제도’가 내년부터 시행 예정으로 의류 산업 분야 순환경제 촉발 등 기여도가 클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제도는 4%의 의복 부담금 적용과 오래된 직물 재활용, 재고 없는 원단 사용 등을 골자로 하는데 호주 패션위원회도 브랜드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는 것.

위원회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호주인들은 연간 56개의 새로운 의류 품목을 구매하는데 이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22만 톤 이상의 의류가 매립되고 있다.

위원회는 자원 재활용 협회,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 및 기후 행동 NGO WRAP과 협력해 제도를 만들고 있으며, 연방 정부로부터 1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 받기도 했다.

호주의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중에선 이미 제도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재고가 없는 원단으로만 제품을 만드는 곳도 등장했다.

호주의 유명 패션 디자이너 중 한 명인 비앙카 스펜더(Bianca Spender)는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패션 업계 종사자로서 매년 태워지거나 매립되는 의류의 양이 엄청나다는 걸 몸소 느끼고 있다”라며 “자사는 재고가 없는 원단으로만 의류를 제작함으로써 패션업계의 지속 가능성 목표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레일라 나자 히브리(Leila Naja Hibri) 호주 패션위원회 대표는 “패션에서 순환 경제는 의류 재사용과 오래된 직물을 재활용해 새로운 디자인을 만드는 관행”이라며 “패션 브랜드들이 자발적으로 의류 관리제도에 참여하고 매립되는 옷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패션업계는 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Quantis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패션업계가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끼친 영향은 염색 및 마감이 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사 준비(28%), 섬유 생산(15%)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도 패션 업계가 섬유 제조만으로도 2060년까지 탄소 배출량이 2030% 급증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