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개각 바람’

 

‘불통’ 정국 속에서 박근혜 대통령 사람들의 ‘총선 출마’ 움직임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정치권에선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의 사의 표명이 잠복했던 ‘전략공천’ 논란에 불을 붙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른바 ‘총선용 개각’의 신호탄이 시작된 것이다. 20대 총선 출마 의사를 내비친 정 장관의 사퇴는 기존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여의도 복귀와는 의미가 또 다르다는 분석이다. ‘박심’ 논란이 향후 여권의 최고 화두로 떠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권력 투쟁으로 분주한 여권 내부 분위기를 살펴봤다.

 

▲ (사진 아래 왼쪽부터) 황우여 최경환 정종섭 김희정

 

박근혜 사단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장관을 지낸 인사들이 속속 정치권으로 귀환하기 시작했다. 여권 관계자는 “친박 인사들이 일찌감치 결단을 내렸다”며 “새누리당의 텃밭에 이들이 출마하면 당연히 경선에서 유리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략공천 논란도 다시 가열되기 시작했다. 경선 형식을 빌리더라도 뒷말이 나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김무성 대표는 이미 “전략공천은 단 한 석도 없을 것”이라며 공언한 상태다. 하지만 아직 친박계 인사들의 출마에 대해선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김 대표 측 인사는 “출마 자체가 문제가 될 수는 없다. 누구나 출마는 가능하다”며 “상향식 공천 룰에 따라 경선을 치르면 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 또 다시 결단의 기로에 선 것이다.

정 장관 등의 출마설이 나도는 지역구 현역 의원들은 초긴장 상태다. 정 장관은 고향인 경북 경주나 대구 출마 가능성이 거론된다. 총선 출마설이 끊이지 않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어느 지역구를 선택할지도 관심이다. 윤 장관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지역구인 경북 경산 출신이지만 부산고를 다녀 부산 지역 출마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다.
 

‘계파 간 신경전’ 가열

이와 관련 정 장관은 “거취와 관련해 여러 의견들이 계속되는 것을 보면서 국정 운영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 사의를 밝히는 것이 옳다고 결정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의 사퇴로 현역 의원 출신인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의 교체와 함께 개각 폭은 점점 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의 해외순방 일정이 잡힘에 따라 출국 전에 부분 개각 발표를 매듭짓는 방향으로 후임 인선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 부총리의 경우 국정교과서 집필진 구성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지만, 후임자가 내정되더라도 청문회 기간을 감안하면 실무적인 준비 절차를 마무리할 시간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16년도 예산안 처리가 마무리된 뒤 연말이나 연초에 여의도로 복귀할 것으로 점쳐진다. 예산안 법정 처리 기한은 12월 2일로, 야당이 장외투쟁을 중단하고 국회를 정상화시키기로 한 상황에서 지난해에 이에 올해도 법정 처리 기한 내 통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가열되면서 황 부총리의 국회 복귀 시점이 좀 더 늦춰질 수 있고, 일부 교체대상 장관의 경우 후임자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사의를 표명한 정종섭 장관 후임으로는 정재근 행자부 차관, 이승종 지방자치발전위원회 부위원장, 유민봉 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 정진철 인사수석 등이 거론된다. 황 부총리 후임자로는 임덕호 전 한양대 총장, 이준식 전 서울대 부총장이 거론되고 있다.

여성부 장관은 여성 정치인의 몫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강은희 의원 등이 정치권에서 거론되고 있다.

박 대통령 사람들이 총선 출마 움직임을 보이면서 잠시 중단됐던 공천 룰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공천 특별기구위원장 선임을 놓고 계파 간 신경전이 시작되고 있다. ‘친박 인사들의 귀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