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박원순 서울시장-1회

‘사람특별시’가 기반이었다. ‘위코노믹스’(Weconomics, 공유경제)는 혁신과 협치를 이뤄냈다. 노동이사제와 청년수당, 반값등록금, 원전하나줄이기 등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새로운 정부와의 협치도 순조롭게 진행될 전망이다. 기존 정책들의 추진에 탄력이 붙고 있다. 새로운 혁신적 정책들이 뒤를 잇고 있다. 그럼에도 난제는 산적해있다. 서울특별시 얘기다. 그 중심에 35대와 36대에 걸쳐 6년간 서울시를 이끌어온 박원순 시장이 있다. 지난 대선, 경선과정에서 중도사퇴했던 박 시장은 “한 나라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선 실존적 결단과 자기 확신, 충분한 준비가 필요한데 그럴 여유가 없었다”며 “단순 포기가 아닌 시정의 책무가 먼저라는 마음으로 불출마 선언을 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남은 임기 1년. 여전히 동분서주하고 있는 박 시장에게 지난 6년과 향후 1년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다음은 심층인터뷰 전문이다. 인터뷰는 3회에 걸쳐 게재된다.

 

▲ 박원순 서울시장

 

- 대선 경선 중 사퇴했다. 다시 한 번 정확한 이유를 듣고 싶다.

▲ 지난 5년간 오로지 서울에만 매진했다. 한 나라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선 실존적 결단과 자기 확신 그리고 충분한 준비가 필요한데, 그럴 시간도 심적 여유도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단순한 포기가 아닌 시정의 책무가 먼저라는 마음으로 불출마 선언을 했다. 그만큼 남은 임기 서울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미래라는 책임감으로 서울의 혁신을 이어가고 완성하는데 주력할 생각이다.

 

- 문재인 정부, 한 달 보름여가 지났다. 평가하자면.

▲ 새로운 대한민국에 대한 국민적 기대 속에 탄생한 정부인만큼, 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계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과정을 거치지 않았음에도 안정적인 출발을 한 것 같다. 헤쳐가야 할 난관이 많겠지만 초심 그대로 국민의 뜻을 경청하고 소통하고 협치 한다면 국민의 지지와 사랑을 이어갈 수 있을 거라고 본다.

 

- 인사 때문에 말들이 많다. 어떻게 생각하나.

▲ 이번 인사는 국민의 큰 기대를 안고 탄생한 문재인 정부의 첫 시험대라는 점에서 우리 국민들도 더욱 엄격한 잣대를 갖고 지켜보고 있으신 것 같다.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라고 하지 않나. 쉽지 않은 일이지만 시민 눈높이에서, 진정성 있게 다가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중앙정부와 많은 부분 협력을 해나가야 할 텐데 거기에 대한 생각은. 그리고 정부에 얘기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 서울시와 중앙정부는 협력이 필수인 순망치한(脣亡齒寒)의 관계다. 이미 새 정부는 도시재생,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등 서울시가 전국화를 건의한 66개 정책 중 39개(약60%)를 채택하겠다는 입장 아닌가. 대통령이 신설을 약속하신 제2국무회의가 아니더라도 형식을 떠나 일상적으로 소통하며 현장에서 시민의 검증을 거친 서울시의 혁신 역량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도 새 정부는 지방정부를 규제 대상이 아닌 지원 대상으로, 나아가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인정해주고 권한과 재정을 지방정부로 대폭 이양해 주셔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분권과 자치를 실현하는 길이다. 무엇보다 자치 조직권을 가장 먼저 해결해 주셨으면 한다. 지금은 부시장 한명, 실-국장 한명도 늘릴 권한이 시장에게 없다. 더불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생활임금제, 근로자 이사제, 노동시간 단축 등 일자리 창출과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법 제도 개선에도 나서주시기 바란다.

 

 

▲ 서울로7017 프레스 투어 중

 

- 35대와 36대에 걸쳐 6년간 서울시장직을 수행해왔다. 일어나 잠들 때까지 하루 일과는 대충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가.

▲ 지난 6년, 자나 깨나 ‘오직 서울, 오직 시민’만을 바라보고 달려왔다. 일어나자마자 밤새 소방방제센터에서 팩스로 보내온 서울시내 재난, 사고 보고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업무가 시작된 다음에는 10분 단위로 짜인 빡빡한 일정을 소화한다. 면담을 하고 보고를 받고 현장에 나가거나 행사에 참석하는 일정 등이다. 다만 서울시 직원들, 서울시민들이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게 하려면 저부터 솔선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최근에는 특별한 일정이 없는 한 ‘6시 정시 퇴근’을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 서울시장으로서 추진해온 주요정책, 그리고 가장 보람 있었던 일과 어려웠던 일은.

▲ 서울시가 문재인 정부에 전국화를 건의한 66개 정책 중 39개(약 59%)를 채택한다는 그 사실 자체가 서울시가 그동안 얼마나 혁신적인 정책을 펼쳐왔는지를 증명한다. 실제로 6년간 서울시는 부채는 7조 이상 줄이고, 복지는 2배로 늘렸다. 보육, 주택, 공원, 에너지, 복지, 노동에 이르기까지 가용 가능한 모든 행정력을 시민 삶을 바꾸는데 투입하며 99:1의 불평등 사회에서 시민 모두가 행복한 ‘사람특별시’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뤄왔다는데 보람을 느낀다. <아래 도표 참조>

그럼에도 지난해 5월, 성실하게 살아가던 한 청년을 무력하게 떠나보내야 했던 구의역 사고는 너무나도 뼈아픈 일로 남았다. 이 같은 비극이 재현되지 않도록 비용보다 사람, 정시성보다 안전성으로 서울지하철을 탈바꿈하는 한편 ‘노동존중특별시’, ‘서울형 경제민주화’, ‘서울형 청년보장’, ‘도시재생프로젝트’ 등 인간 존중의 비전으로 청년의 희망, 노인의 자존, 노동자의 권리를 지켜 나갈 것이다.

 

-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생활임금제, 청년수당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아직 정확한 내용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 취지를 설명하자면.

▲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생활임금제, 청년수당은 서울시가 써내려온 ‘노동존중문화’의 첫 역사들이다. 인간은 노동에 의해 생존하고, 역사는 노동에 의해 발전해 왔다. 우리의 부모님도 노동으로 자식을 길렀고 지금도 노동하고 있으며, 우리의 아들딸들은 예비노동자다. 즉, 노동의 상식을 회복하는 것은 인간 존중의 기본이다. 이에 서울시는 지방정부 최초로 노동정책을 전담하는 ‘국’ 단위 조직을 신설했다. 이어 굳게 닫혀 있던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의 첫 문을 열어 시 본청과 투자 출연기관의 약 7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국내 최초로 근로자가 이사회에 참여, 현장의 목소리를 내는 ‘근로자이사제’를 도입했고 노동자의 생존을 넘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생활임금제’를 확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청년실업 해결을 위해 2년여에 걸쳐 청년들과 직접 소통으로 여러 가지 정책을 만들었다. 청년에게 기회의 사다리를 놓아주기 위해 시행 중인 ‘청년수당’이 대표적이다.

<2회로 이어집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