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바다’가 캠페인이 아닌 일상인 그들
‘아나바다’가 캠페인이 아닌 일상인 그들
  • 이석원 기자
  • 승인 2019.08.16 0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리즈기획] 복지국가 스웨덴에서 살아보기 / 이석원
스톡홀름 시내 중심가인 회토리엣에서 매주 일요일마다 열리는 벼룩시장. ⓒ위클리서울/이석원 기자
스톡홀름 시내 중심가인 회토리엣에서 매주 일요일마다 열리는 벼룩시장. ⓒ위클리서울/이석원 기자

[위클리서울=이석원 기자]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석사 유학 중인 강호정 씨(29. 가명)에게는 새로운 취미가 생겼다. ‘옥션(Auktion) 찾아다니기’다. 호정 씨가 가는 옥션에서는 중고품을 거래한다. 거의 개인 소장품들이다. 구입보다는. 물건들을 둘러보고 남들의 경매 모습을 구경하는 것을 즐긴다.

호정 씨가 즐겨 찾는 옥션은 스톡홀름에 있기도하고, 때로는 기차를 타고 스톡홀름 외곽에 있기도 하다. 최근에는 스톡홀름에서 기차로 3시간 거리에 있는 스웨덴 중부 모라(Mora)라는 곳 옥션에 가서 근사한 그림 한 점을 단돈 100크로나(약 1만 3000원)에 구입했다. 그 동네 사는 80대 할머니가 내놓은 안데르스 소른이라는 화가의 작품을 모사한 것이었다. 모사한 화가가 소른의 제자 중 한 명이었고, 그 할머니의 언니라고 했다.

스웨덴에 유학 간 후 안데르스 소른이나 칼 라르손 등의 스웨덴 화가를 좋아하기 시작한 호정 씨는, 비록 진품은 아니지만 ‘땡 잡은 기분’이었다. 호정 씨는 “옥션에 가서 이런 행운은 흔치 않지만, 또 이런 것 때문에 옥션을 즐기기도 한다”고 한다.

호정 씨에게 이런 취미가 생긴 것은 학교 친구 소피아 때문이다. 소피아는 매주 일요일 스톡홀름 서쪽 멜라렌 호수에 있는 섬 스탈라홀멘(stallaholmen)에서 열리는 옥션에서 살다시피 한다. 직접 자신의 물건을 내놓기도 하고, 그곳에서 산 물건으로 스톡홀름에 있는 자신의 작은 아파트를 온통 골동품으로 치장해 놓았다.

소피아에게는 함께 옥션을 찾아다니는 동아리도 있다. 호정 씨도 가입한 이 동아리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다양한 남녀 10여명으로 구성돼 있는데, 시간이 허락하는 사람들은 함께 모여서 옥션에 간다.

스웨덴 사람들에게 옥션은 매우 보편적인 취미 중 하나다. 스톡홀름 시내 곳곳에는 물론 근교나 지방에 있는 크고 작은 옥션은 늘 물건을 내놓기도 하고 구입하기도 하는 스웨덴 사람들로 북적인다. 스톡홀름에서 멀지 않은 베스테로스(Vesterås)라는 동네에서 열리는 야외 중고품 경매장 솔고덴(Solgården)은 스톡홀름에서부터 온 사람들로 늘 붐비는 유명한 옥션이다.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입하기도 하고, 자신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쏠쏠한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건 옥션 뿐 아니다. 벼룩시장도 그럴 수 있다. 벼룩시장은 스웨덴 뿐 아니라 유럽의 도시들에서는 흔히 볼 수 있고,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기도 하지만, 스웨덴에서의 벼룩시장은 여행자보다 현지인들에게 훨씬 인기가 높다.

매주 일요일 시내 중심가인 회토리엣(Hötorget)이라는 광장에서 열리는 벼룩시장을 비롯해, 토요일에 열리는 칼라플란(Karlaplan)의 벼룩시장과 스톡홀름 남쪽 지역인 쇠데르말름(Södermalm)의 스칸스툴(Skanstull) 벼룩시장은 스톡홀름 시민들이 매우 사랑하는 공간이다.

회토리엣의 벼룩시장이 중고품 거래업자들이 주로 오래된 물건들을 가지고 나와 판매하는 유럽 전형의 벼룩시장이라면, 칼라플란 벼룩시장은 인근 동네 주민들이 자신들이 사용하던 물건을 좌판에 펼쳐놓고 판매한다. 또 스칸스툴 벼룩시장은 오래된 물건은 물론 판매자들이 직접 재배한 농산물이나 구운 빵, 손수 만든 비누나 소품들도 판매하고 있다.

그런데 스웨덴 사람들이 다른 유럽 사람들과 조금 다른 점은 이런 벼룩시장을 매일 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벼룩시장이 주로 주 1회 열리는데 반해 스웨덴에는 이른바 상설 벼룩시장이 즐비하게 많다.

 

스우덴의 대표적인 상설 벼룩시장 체인인 뮈로나. ⓒ위클리서울/이석원 기자
스우덴의 대표적인 상설 벼룩시장 체인인 뮈로나. ⓒ위클리서울/이석원 기자

대표적인 스웨덴의 상설 벼룩시장은 뮈로나(Myrorna)와 스톡홀름 스터드미슌Stockholm stadmission), 그리고 피엠위(PMU. Pingst Missionens Utvecklingsarbete)다.(이 세 곳의 상설 벼룩시장 체인에 대한 이야기는 홍희정 저 ‘스웨덴에서 한국의 미래를 꿈꾸다’에 자세히 나와 있다.)

구세군과 스웨덴 국교회(루터교), 핀란드 오순절 교회 등 종교단체에서 주로 운영하는 이들 벼룩시장 체인은 개인에게 물건을 기부 받아 이를 판매한 수익금으로 국제 구호와 교육 등의 사업에 사용한다.

옥션이 됐든, 벼룩시장이 됐든 결국 남이 쓰던 물건을 재사용한다는 이들의 공통점은 스웨덴 사람들의 성격이나 소비 성향과도 밀접하다.

‘유럽에서 가장 검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스웨덴 시민들은 오래된 물건을 잘 가꾸고 수리해서 사용하는 것을 즐기고, 저렴하고 실용적인 것을 좋아하고, 서로가 필요로 하는 것을 서로 교환해서 다시 쓴다. 우리에게 익숙한 ‘아나바다(아껴 쓰고 나눠 쓰고 바꿔 쓰고 다시 쓴다)’가 캠페인이 아닌 일상 속에서 생활화 된 사람들이다.

어지간한 부자라도 고가의 사치품 구입을 즐기지 않고,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고가구도 옥션이나 벼룩시장에서 구입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저 아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그런 행위 자체를 하나의 즐거운 취미로 여기는 것이다.

또 한 두 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물건들이 결국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그들은 염려한다. 완벽하게 폐기되는 물건이란 흔치 않다보니 기왕 만들어낸 물건을 가능하면 오랫동안 재사용하는 것이 지속 가능성을 이루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많은 것을 생산하고 단순한 소비에 그칠 경우 자신들은 물론 지구 환경이 병들 수밖에 없다는 것을 늘 안타까워하는 그들인 것이다.

물론 세계적으로 인건비가 높은 스웨덴이다 보니 공산품 가격이 매우 비싼 것도 이유일 수 있다. 아무리 소득 수준이 높은 그들이라도 스웨덴의 공산품 가격은 쉽게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그러니 오래 쓰고 바꿔 쓰는 것이 일상화 됐는지도 모른다.

남이 사용하던 옷이나 신발, 심지어는 속옷까지도 벼룩시장 등에서 구입한다면 지독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게 살아서 부자 나라가 됐나?’ 하며 비아냥댈 수도 있다. 하지만 아끼는 이유가 경제적인 것 뿐 아니라 환경의 문제라는 것을 안다면 스웨덴 사람들을 조금 더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석원 님은 한국에서 언론인으로 일했습니다. 지금은 스웨덴에서 살고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 뉴텍미디어 그룹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 07108 (등록일자 : 2005년 5월 6일)
  • 인터넷 : 서울, 아 52650 (등록일·발행일 : 2019-10-14)
  • 발행인 겸 편집인 : 김영필
  • 편집국장 : 선초롱
  • 발행소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목로 72(신정동)
  • 전화 : 02-2232-1114
  • 팩스 : 02-2234-8114
  • 전무이사 : 황석용
  • 고문변호사 : 윤서용(법무법인 이안 대표변호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주리
  • 위클리서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05 위클리서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weeklyseoul.net
저작권안심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