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탄소 다배출 산업..."녹색전환으로 경쟁력 갖춰야"
정부 R&D 예산 80% 감축..."탈탄소 지원 확대해야"

16일 국회에서 열린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녹색철강 전환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단체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위클리서울/박영신 기자 

[위클리서울=박영신 기자] 1톤의 철강생산마다 1톤 이상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산업인 철강산업은 흔히 탄소 배출이 많은 산업으로 꼽힌다.

실제로 2021년 기준 포스코의 탄소배출량은 7848만3858톤에 달했으며 현대제철은 2848만9305톤을 배출했다. 두 곳의 탄소배출량(1억697만3163톤)은 같은 해 우리나라 총배출량(6억7960만톤)의 15.7%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철강산업의 녹색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철강산업의 녹색전환을 위해선 철강산업 등 탄소 다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그린전환 종합로드맵 마련과 아울러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 국가의 지원 및 규제 메커니즘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실장은 16일 국회에서 열린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녹색철강 전환 정책토론회’에서 “저탄소 철강재 공급에 대한 수요부문과 사회적 압력이 강화되고 있다”며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추진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 차원의 글로벌 그린스틸 표준 제정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실장은 “철강산업의 탈탄소화는 철강산업 밸류체인 전반의 변화를 촉발하고 됐다”며 “탄소중립 기술 개발 및 설비 전환이 가속화되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공정 부문에 있어서는 탄소 배출이 많은 기존의 용광로 시스템에서 전기로와 수소환원제철 등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로의 전환 기간 동안 저탄소제품 생산을 위해 2026년까지 250만톤 규모의 전기로를 신설하기로 했다. 현대제철은 프리멜팅 전기로를 활용해 저탄소 철강재 400만톤 공급을 추진하며 2030년 이후 산전기로를 활용해 100만톤 공급을 추진한다. 또 기업들은 수소환원제철 해외 기술개발 속도를 감안해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조기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원료 부문에 있어서는 직접환원철과 그린수소 등 탄소중립 원료 확보를 위한 국내외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이재윤 실장은 “철강산업의 탄소감축 경쟁력 확보는 NDC 달성 뿐 아니라 일본, 유럽 등 기존의 철강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중국과의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필수요소”라며 “그러나 건전재정 방침과 제한적인 기후대응기금 규모 등 해외 대비 국내의 산업 탈탄소화 지원 여력은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철강산업의 탄소감축을 위해 2030년까지 당초 산업통상자원부와 철강업계가 요구했던 1조원에서 무려 80%나 삭감된 2374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광로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이 실장은 “철강산업을 비롯한 다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한 산업별 그린전환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며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폐자원 활용 확대 등 철강산업의 다양한 탈탄소 전환을 위한 경로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개별적, 산별적 지원제도를 정비해 체계적 지원제도 구축이 필요하다”며 “민간 자체의 노력으로 추진이 가능한 분야 및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분야 식별을 통해 정책과 투자 공백 영역에 대한 지원 집중이 필요하다”고도 짚었다.

현재 산업부와 환경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R&D 등 지원제도가 여러 부처에 소규모로 혼재돼 있는 상황이다.

이 실장은 “탄소가격부과체계나 탄소차액계약제도 등 한국 현실성을 반영한 지원 및 규제 메커니즘 정립도 필요하다”며 “그린철강재 시장 창출을 위한 공공조달 및 수요연계 전략 모색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희 포스코 상무는 “일본은 철강산업 등 국가 기반산업의 탈탄소 체계 전환을 위해 GX(Green Transformation) 기금 조성을 추진하고 잇다”며 “우리나라도 글로벌 탄소중립 흐름에 뒤쳐지지 않도록 체계적인 민관 협력으로 탈탄소 전환정책을 도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일규 현대제철 상무는 “철강산업의 녹색 전환을 위해선 수소환원제철 등 기술적인 부분과 파이낸싱 및 지원 부분, 그린철강 시장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 플랫폼을 어떻게 만들어서 경쟁을 유도할 것인가 등 4가지가 함께 작동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상무는 “국가 차원의 과제인 탄소중립을 위해선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에 대한 정책과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대기업 지원에 대한 국민감정에 대해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이 방향성을 제시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한편 각국은 탄소배출이 없는 수소환원제철 개발과 상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9월 수소제철위원회를 결성하고 '제철 프로세스 수소 활용 프로젝트'에 착수해 1935억엔(약 2조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EU는 지난해 9월 철강을 비롯한 에너지집약 산업의 녹색전환을 위해 '유럽 주요 공동이익 사업'(IPCEI)을 통해 총 246억유로(약 36조원) 규모의 수소연구 보조금 지원계획을 승인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