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공감대 형성, '정부주도 VS 기업주도' 의견 갈려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그린바이오를 육성해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이어졌다. 하지만 방식은 견해차를 보여 정부와 국회의 견해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린바이오는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고부가 농생명산업 육성을 위한 생명과학 기술분야를 말한다.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가 미래산업 그린바이오 성장방안’이라는 주제의 토론회를 열고 “그린바이오산업은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생산을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해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강점을 갖고 있다”라며 “농업의 디지털육종 전환 기술기반 구축과 관련해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는 산업인 만큼 대한민국의 그린바이오산업이 세계시장에서 더 빛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이 논의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생산을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할 경우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약 1조 9208만 달러(1320조)로 성장해 연평균 6.7%의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예상이다.

국내시장의 경우 2020년 기준 약 5조4000억 원으로 세계시장 대비 0.3% 수준으로, 세계적 성장에 발맞춰 국가적 차원의 준비가 시급한 시점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만으론 산업 육성이 어렵다는 의견도 피력됐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국내 그린바이오산업이 경쟁력을 갖춰 시장을 공략한다면 새로운 수출 효자 분야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는 그린바이오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작년 12월 단위 조직인 그린바이오산업팀을 신설하고, 2월 ‘그린바이오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하는 등 지원에 나선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는 민·관·학이 협업하는 ‘그린바이오산업 발전 협의회’를 통해 정책의 시너지를 높이고 규제도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안정적인 정책 추진을 뒷받침할 특별법도 제정할 계획이지만 산업의 도약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병옥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전체 과장은 “클레리베이트(구 톰슨로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농진청은 생명공학분야 세계 혁신기관에 2년 연속 선정되는 등 K-바이오 수출확대를 위한 고부가 생명공학 종자개발사업 예산 요구 등 국내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그린바이오산업이 도약하기 위한 토양이 갖춰진 상황인 만큼 기업들도 적극적인 투자와 함께 다양한 R&D와 상업화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등 보폭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