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硏, '"식품시스템 전반 고려한 감축전략 필요"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박영신 기자]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와 폐기에 이르는 식품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저탄소식단 실천·교육, 대체육 소비 확대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 세계적으로 식품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21~27%를 차지하며, 식품 손실 및 폐기에 따른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6~10% 수준인 3.3기가 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발생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품시스템 전반을 고려한 감축 전략이 필요하지만, 그간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은 주로 생산 부문에만 집중돼 효과적인 감축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게다가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적 영향은 지난 25년간(1994~2019년) 점차 육류 섭취가 증가하는 등 탄소발자국이 높은 식단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이 부담이 더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탄소중립을 위한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분석' 보고서에서 “효과적인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실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 역량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9년 기준 약 1억1210만 톤CO2-eq이며, 이는 우리나라 총 배출량의 약 16%에 해당한다. 또한 식품시스템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음식점업, 식품 유통, 가축 사육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음식료품 제조업과 음식점업, 그리고 식품 유통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8340만 톤CO2-eq으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식품시스템 전체 배출량(9120만 톤CO2-eq)의 약 9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국내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살펴보면, 농업부문의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도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외부사업을 통한 감축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2030년 감축목표인 585만8000 톤CO2-eq를 달성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위클리서울/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에 연구원은 “온실가스 감축 효과 측면에서 저탄소식단 실천 및 교육·홍보, 대체육 소비 확대, 식품폐기 감축 등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원은 “저탄소 식품 개발 및 보급을 위해서는 대체식품 시장 육성 및 보급”이라며 “최근 세계적으로 대체식품 시장에 대한 관심과 기술 투자가 증가되는 추세이나, 국내 식품업체는 현재 대체식품 주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제품개발의 어려움이 있고, 대체식품에 대한 제조 및 용어 사용 등 세부적인 기준이 미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체식품 시장이 성장하고 다양한 제품 개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대체식품의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한 R&D 투자가 필요하다"며 "발전 초기 단계 시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가이드라인의 부재, 규제 공백, 그리고 기존 규제로 진입 장벽 등의 문제 여부를 진단하고 이를 해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소비자들의 저탄소 식단으로의 자발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소비자 교육 및 저탄소 메뉴 보급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현재 식생활 정보·교육 사업을 수행하는 식생활 교육 국민네트워크를 통해 기후환경 친화적인 식생활 교육을 위한 표준 모델 운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공공급식 시설에서 정기적으로 저탄소 식단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EU의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은 식품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해 정책전략 및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동물성 식품의 소비를 줄이는 ‘저탄소 식단 장려’를 대표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