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개 금융사 한번에 비교, 개시 첫날 대출금 474억 이동
플랫폼 통해 소비자 편의성 증대, 금리인하 효과 기대돼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카드, 캐피탈 등 기존에 받은 신용대출을 모바일 앱으로 쉽게 비교하고 더 유리한 조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가 본격 가동됐다.

 

ⓒ위클리서울/ 금융위, 디자인=이주리 기자
ⓒ위클리서울/ 금융위, 디자인=이주리 기자

개시 첫날인 31일 474억원 규모의 대출금이 이동했으며, 사람들이 몰리면서 한때 접속량 폭주로 인한 오류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대했던 만큼 다양한 선택지가 있지는 않았다며 불만족을 표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때문에 대출자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정도의 인프라를 위해서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온다.

31일 개시된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는 53개 금융회사의 대출 상품과 조건을 스마트폰 앱을 통해 비교해 한번에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이다.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다.

기존에는 플랫폼에서 대출비교는 가능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대환대출을 하려면 금융사 영업점 등을 방문해야 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플랫폼을 통해 보다 손쉽게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가능한 앱은 네이버페이, 뱅크샐러드,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KB국민카드, 웰컴저축은행 등 7개 대출비교 플랫폼 앱 외에도 5대 시중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 3개, 저축은행 7개, 카드사 7개, 4대 캐피탈사 등 33개 개별 금융회사 앱이다.

신용대출 갈아타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마이너스 통장이나 카드론 등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대출은 대출 실행 후 6개월이 지난 이후에만 갈아타기가 가능하다.

또한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대출’의 경우 SGI보증이 있어 대환대출 서비스를 통해 갈아타기를 할 수 없다. 이외에도 연체대출 또는 법률분쟁, 압류 및 거래정지 상태의 대출 등도 대환대출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다.

서비스 첫해에는 자금쏠림 방지 등을 위해 금융사별로 지난해 신규 취급 신용대출의 10%, 혹은 4000억원 중 작은 금액의 범위에서만 비대면 대환대출이 가능하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이동한 대출 건수는 1819건, 대출금 기준으로는 474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시 3시간여 만인 낮 12시30분 기준으로 약 216억원(834건)의 대출 이동이 있었고 은행과 은행간 대출이동 비중이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위클리서울/ 토스 캡쳐

사례를 보면 한도 대출로 받은 1500만원을 연 9.9%에서 5.7%로 갈아탄 경우(은행→은행), 카드론 500만원을 금리 19.9%에서 17%로 이동한 경우(카드사→카드사), 신용대출 8000만원을 금리 15.2%에서 4.7%로 갈아탄 경우(저축은행→은행) 등이 파악됐다.

사람들이 몰리면서 일부 금융사에서는 트래픽 과부하에 의해 플랫폼을 통한 대출 조건 조회에 대한 응답지연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고, 조회 결과 기존보다 높은 대출금리 상품이 나오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이미 은행에서 우대금리를 적용받은 고객의 경우, 갈아탈 수 있는 상품이 없다는 안내를 받아 불만족을 표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업계 관계자는 금리가 더 낮거나 한도가 더 높거나 하는 등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품이 뜨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 역시도 추후 제휴 금융사 입점 및 시스템 안정화 등이 이뤄지고 나면 이러한 오류가 점차 줄어들 것이라며 인프라 가동으로 편의성은 크게 개선될 것이라 봤다.

금융위 관계자는 대환대출 서비스로 개별 금융사가 신규 유치할 수 있는 신용대출 규모를 전년도 신규 신용대출 취급액의 10% 또는 4000억원 중 작은 금액으로 설정한 것에 대해서도, 대규모 자금쏠림 방지를 위한 장치라며 “시범운영 과정이고 실제 취급 동향을 살펴보고 탄력적으로 한계 기준도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다.

특히 해당 대환대출 플랫폼이 안정화되면 소비자가 다른 대출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실제로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 가동에 발맞춰 주요 은행들의 금리 인하 동향도 파악됐다. A사는 자사 앱을 통한 대환대출 신청시 0.3%p의 우대를 제공하고 B사는 플랫폼을 통한 대환대출 상품 금리 범위를 0.5%p 하향 조정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각 금융사의 대출금리가 얼마나 낮아질지, 소비자가 대출을 갈아타서 어느 정도의 이자를 아낄 수 있을지는 금융회사의 영업전략, 소비자의 신용도와 서비스 활용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예상된다”며 결과적으로 대출금리가 일정 범위내로 수렴할 가능성도 내다봤다.

금융 당국은 소비자 편익 증진 및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 운영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금융권과의 협의를 통해 주택담보대출을 대상으로 하는 인프라 역시 연내에 구축할 예정이라 설명했다.

 

 

 

키워드
#대환대출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