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탄소 중립 위해 기업들 앞장

[위클리서울=이호재 기자] EU에서 기후 중립 생산 전환을 위한 정부와 기업 간 협업 사례가 늘고 있다. 기후 친화적 생산 전환에 따른 기업 부담을 덜고자 하는 취지이자 기후 중립 생산 추진을 위한 정부 의지 표현으로 풀이된다. 기업 차원에서도 자발적으로 저탄소 생산 공정으로 전환을 위한 노력이 잇따르며 차세대 저탄소 녹색시장 선도를 위한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독일은 2022년 12월 기후 중립 생산으로의 전환을 위한 대대적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하베크(Robert Habeck) 독일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기후 중립적 생산 공정으로 전환을 위해 산업계에 15년간 수백억 유로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독일 경제기후보호부도 기후 친화적인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기후 보호 계약에 수백억 유로 지원을 밝힌 상태.
최근 ‘기후 보호 계약을 통한 산업의 기후 중립적인 생산 공정 촉진을 위한 지침’ 초안이 공개되기도 했는데 해당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취지다.
초안은 제품 생산에 드는 추가 비용은 자금 지원 대상이 되며 정부는 기업이 기존 산업 플랜트에 비해 기후 친화적인 플랜트의 건설 및 운영을 통해 발생하는 추가 비용을 부담한다 설명한다. 사용된 수소는 녹색수소 또는 청색수소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며, 전기는 전적으로 재생에너지원으로 생성된 것이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계약 체결 후 2년 이내에 시스템을 가동해야 하며, 기존 기술 대비 60%의 CO²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오스트리아도 2022년 기준 전체 투자펀드 시장 내 ESG 펀드의 비율이 42% 이상을 차지할 만큼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실행력이 높은 국가다.
2030년까지 모든 전력 생산량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204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국가 목표에 따라 에너지 전환 정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주요 에너지 기업들의 경우 앞선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해 보이고 있다. 대표 에너지 기업들이 적극적 ESG 경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EU의 기후 보호 계약은 기업의 CO² 중립 생산 달성에 든든한 뒷받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OTRA 관계자는 “독일은 생산 공정에서 탄소 배출을 감축하고자 하는 기업의 부담을 정부가 일정 부분 보상해줌으로써 기후 중립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며 “독일의 기후 중립 공정 전환을 위한 이번 프로젝트는 새로운 기술을 시장성 있게 만들고 리스크와 비용이 예측 가능하게 된다는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탄소 중립, 기후 중립을 위한 경쟁은 이미 본격화 양상을 보이고 있고 저탄소 시장은 이제 고부가가치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최근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개선 및 국가 탄소중립 기본 계획안 마련에 나서며, 탄소중립 이행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저탄소 녹색시장을 겨냥한 순환 경제 실현과 더불어 우리 기업 역시 조기 상용화 실현과 더불어 전방위 산업 내 관련 저탄소 혁신 기술 및 제품의 수출시장을 개척해 나갈 때다. 전 산업 밸류체인에 걸친 저탄소화 선도 노력 속에 고부가가치 제품 및 기술의 수출 물꼬가 트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