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결혼연령 높아지면서 年 4만쌍꼴 불임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여성들의 불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산모의 연령과 무관하지 않아 그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기우(열린우리당) 의원이 공개한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배우자가 있는 15세 이상 39세 이하의 가임 여성 중 14%인 64만쌍이 불임부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0년 전 25만쌍에 달했던 불임부부 숫자가 현재 156% 증가한 것으로 매년 4만쌍 정도 증가하고 있는 수치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처럼 불임부부가 증가하는 이유로 세가지 이유를 꼽고 있다.

우선 사회적·경제적 문제로 인해 미혼남녀의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결혼 후에도 가임시기를 늦춤에 따라 불임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과 전자파·다이옥신 등 환경 오염과 스트레스로 인한 정자수 감소 등이 지적됐다.

또 불임 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존 30∼40대 불임부부들이 다시 병원을 찾고 있다는 것도 수치상 드러나는 불임율로 해석된다.

실제 삼성제일병원의 초산 분만현황을 연령별로 조사한 결과 30∼34세 산모의 분만은 1999년 1665건에서 2004년 2590건으로 약 56% 증가했다. 반면 25∼29세 산모의 분만은 1999년 3545건에서 2004년 2247건으로 약 32% 꾸준히 하락했다.

아울러 전체 산모의 평균 연령은 99년 30세, 2002년 33세, 2004년 34세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차병원의 경우도 "정확한 수치를 파악·공개할 수 없지만 이 같은 추세가 사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삼성제일병원 송인옥 교수는 "불임율이 높아졌다는 객관적 근거는 없지만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불임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특별한 원인이 없어도 35세가 지나면 임신율이 급격히 저하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여성의 불임율은 16∼20세에 4.5%, 35∼40세에 32%, 40세 이상에서는 70%로 급증한다"며 "1년이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는 부부라면 빨리 병원을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한편 일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불임치료시 본인부담금을 낮추고 보험급여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불임부부들의 모임인 한 단체는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지 못하는 불임부부들의 고통을 정부가 외면하고 있다"며 "불임여부 진단비 등 극히 일부만이 보험 적용될 뿐 대부분 불임치료는 건강 보험에서 제외돼 있어 저소득층은 치료받기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즉 각종 출산장려 대책이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정작 아이를 간절히 원하는 불임부부들은 보험 혜택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다행히 정부는 저소득 불임부부에 대해 불임 검사나 치료비를 국가 예산 또는 건강 증진기금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관련 전문의들은 이에 대해 "국가에서 지원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사실 상 그만한 재정 여력이 못된다"며 "보험 혜책이 주어진다 해도 소폭 확대되는 선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명은 기자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