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2023년 민간소비·수출 등 올해보다 어두울 것” 전망 

금융연구원 주최로 8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년 금융동향과 2023년 전망 세미나’에서 박성웅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이 발표하고 있다.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금융연구원 주최로 8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년 금융동향과 2023년 전망 세미나’에서 박성웅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이 발표하고 있다.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경제 전문가들이 내년 한국 경제의 매크로(거시경제) 환경이 어두울 것으로 입을 모았다. 하지만 중국의 리오프닝(경기재개)이 반등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이어져 눈길을 끈다.

금융연구원 주최로 8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년 금융동향과 2023년 전망 세미나’에서 박성웅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올해는 글로벌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 경제가 정상화되면서 우리나라도 잠재 수준 이상의 성장을 보이겠지만 높은 인플레와 금융불안 확대로 연말로 갈수록 성장세가 약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2023년은 경제전망이 어려운 만큼 지표라고 할 수 있는 민간소비와 수출분야에서의 반등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했다.

박 실장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이후 제반 대내외 여건이 민간소비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한 부정적 효과가 내년에 반영될 수 있다고 했다.

지속적인 금리 인상 여파로 고용이 둔화되고 자산시장이 위축되며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의 증대로 소비심리도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른 2023년 민간소비 증가율은 2.1%를 기록할 전망인데, 2022년의 4.5% 보다 2.4%p나 감소한 수치다. 내년 물가상승률은 연간 3.5%로 공공요금, 개인서비스 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높은 상승세를 이어가겠으나 2022년의 연간 상승률 5.2% 보다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총수출 및 총수입 증가율도 각각 1%, 1.7%로 전년(3.4%, 3.6%)보다 낮아질 전망이다.

2023년은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재화 교역을 견인하던 IT품목 수요가 약화될 것이란 견해다. 

IMF에 따르면 전 세계 재화 및 서비스 교역량은 2022년 4.3% 증가한 후 2023년에는 2.5%로 증가율이 낮아질 전망인데, 글로벌 교역량 둔화가 한국에도 반영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국내 기준금리는 대외여건에 대한 고려와 국내 물가 대응을 위해 2023년 상반기 중 3.75%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중국이 제로코로나 정책에서 탈피하면서 예상보다 빠르게 내수 소비가 회복되고 성장률도 반등할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봤다.

박성웅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2023년 우리 경제는 잠재 수준에 가까운 성장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하방위험이 높은 편”이라며 “10월 당대회를 통해 시진핑 주석이 권력 연장을 확정한 만큼 감염률 및 사망률 안정화, 중국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을 정책 전환 명분으로 제시하면서 제로코로나 정책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경우 봉쇄의 충격이 컸던 민간소비나 수입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경제의 반등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도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언급이 있었다.

장재철 KB국민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한국 경제는 미국 중앙은행들의 금리인상 기조가 반영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전반적으로 어두운 상황이지만 상대적으로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은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석길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지난 2년간 견조한 소비 증가율이 3년째 이어지기 어려운 만큼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은 1%대로 떨어질 것”이라며 “다만 중국의 정책 기조가 리오프닝으로 맞춰질 경우 우리 경제에 긍정적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