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제거 인증제 도입 급물살, 혁신 기술 지원 가능성도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EU가 탄소 포집 및 제거 기술(CDR)을 도입하며 탄소저감기술에 앞장서고 있다.

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브뤼셀 무역관은 EU가 2050년까지 기후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 배출량 감축 외, 탄소포집·저장(CCS) 및 탄소제거(CDR) 등 다양한 개념을 도입한 상태라고 소개했다.

탄소배출량 감축만으로는 기후목표 달성에 어려움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CCS‧CDR 기술 및 탄소 흡수원의 필요성이 대두된데 따른 조치라는 설명이다.

탄소배출규제 강화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급등하면서 기업이 탄소저감 기술 투자를 고려할만한 여건이 조성됐다는 점도 이번 조치의 배경이라는 것.

특히 EU 집행위는 정책 및 기금지원을 통해 CCS·CDR 기술 육성을 추진 중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70년 탄소중립에 도달한다고 가정 시 전체 감축량의 15%를 CCS·CDR 기술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U의 2050 탄소중립 목표에서도 해당 기술의 기여도는 약 14%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엔 탄소제거활동의 정량화·모니터링 검증을 위한 탄소제거 인증제도(CRC)가 논의되고 있어 효율적인 탄소제거활동 촉진을 위한 탄소 제거 인증과 제거 활동 분류 기준이 마련된 상태다.

여기엔 바이오 에너지를 활용한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을 뜻하는 BECCS 또는 공기 중 탄소 직접 포집 및 저장 기술인 DACCS가 활용된다. 이를 위해 토양이나 산림에 탄소를 저장하는 농임업역할증대와 지속가능한 제품 및 재료의 탄소저장을 목표로 하는 건축자재의 탄소저장 능력이 포함돼 있다.

현재 인증된 방법에 의한 탄소제거에 대해서만 마이너스 배출로 인정하고, 혁신적인 탄소제거활동에 대해 공적기금을 통한 지원 가능성도 언급된 상태다.

KOTRA 관계자는 “CCR‧CDR기술이 탄소중립목표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술육성 정책 및 지원 확대가 전망되고 있다”라며 “향후데이터센터 운영 전력 소모가 큰 빅테크, 탄소 저감이 어려운 알루미늄‧항공‧화학‧철강 대기업 중심의 탄소제거 기술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도 탄소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들어 청정수소인증에 관한 도입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제4차 탄소중립 정책포럼’에서 기업과 전문가들은 수소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필수 에너지원이며 탄소배출량에 근거한 청정수소인증제를 빠르게 도입, 산업 생태계 육성과 관련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청정수소인증제는 수소 생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탄소배출량이 적은 수소를 청정수소로 인증하는 제도다. 주요국에서는 청정수소 등급에 따라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하고 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청정수소 인증제와 청정수소발전 제도 등 국내 수소 관련 정책을 빠른 시기에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해외 청정수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