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관련특허출원 점유율 5% 그쳐
무역協, 예산 확대·R&D 지원사업 등 '시급'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박영신 기자] 세계 주요국들이 장거리 수소 운송체제 구축을 위해 수소를 액체, 액상으로 변환하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은 기술력이 부족하고 상용화 수준이 낮은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소 저장·운송 관련 예산 확대, R&D 지원사업 및 연구개발 시설에 대한 특례기준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수소는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저장·운송 과정에서 압축(물리적) 혹은 변환(화학적) 과정이 필요하다.

현재 기술적 한계로 기체 저장·운송방식(파이프라인, 고압 기체 튜브 트레일러)이 주가 되고 있으나, 향후 기술 발전 시 경제성이 높은 액체 및 액상 방식으로 수소를 저장하고, 파이프라인, 탱크로리 및 선박을 통해 대량 운송하는 방식이 확대될 전망이다.

액체수소 저장기술 등이 상용화되면 저장기술을 연계한 인프라 투자(액화수소 수출입 터미널, 운송 선박, 파이프라인, 튜브 트레일러 등)가 활성화돼 수소 운송시장이 2050년 566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주요국들은 장거리 수소 운송체제 구축을 위해 수소를 액체, 액상으로 변환하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독일은 인접국과의 수소 유통프로젝트를 통해 EU 역내 수소 파이프라인을 1800km까지 확충할 계획이며, 역외로는 자국 기업의 우수한 수소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우디, 호주 등 수소 수출국과의 R&D 협력을 통한 공급망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다.

미국은 우수한 수소 저장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액체수소 저장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길이의 파이프라인(2600km)을 통해 국내 유통에 주력할 계획이다.

ⓒ위클리서울/픽사베이

국내 수소 정책은 △저장·운송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기술개발 기반 국내 수소 유통 및 해외 수소 수입 인프라 확대로 크게 분류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주요국의 수소 저장·운송산업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관련특허출원 점유율과 RTA(현시기술우위지수)를 살펴보면, EU가 33%의 특허점유율과 RTA 1.3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경쟁력을 나타냈고 미국과 일본도 각각 23%(0.8)와 22%(1.2)를 기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5%(0.6)에 그쳤다.

한국무역협회는 “수소 저장·운송산업 경쟁력 저하는 그간 활용 분야에 중점적으로 정부투자가 진행돼 왔고, 수소 R&D 관련 지원 체계가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즉 활용과 생산 분야 대비 부족한 저장·운송 분야 예산, 구체적인 해외 수소운송 전략의 부재, 관련 기술에 대한 규제, 제도 미비 등이 주요 문제점이라는 것이다.

이에 협회는 △저장·운송 관련 예산 확대 △R&D 지원사업 및 연구개발 시설에 대한 특례기준 마련 △해외 수소 공급망 지원 체계 고도화 △튜브트레일러 용적 및 압력 기준 완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수소경제 초기 단계 특성상, 사업 성과를 즉각적으로 내기 어렵고 R&D 투자가 이윤 회수로 직결되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인 지원책이 요구된다”고 짚었다.

아울러 “특히 수소경제 성공의 게임체인저는 저장·운송 분야이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수소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