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헌 매니저 “청년 대상 금융 교육 절실” 지적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교육부장관이 청년 대상 금융 교육 진흥을 위해 3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 ·시행하는 금융교육진흥법이 필요합니다.”

박세헌 청년재단 정책기획팀 매니저가 7일 윤창현 의원 주재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금융 2030 청년 금융을 말하다’ 토론회에서 “학교 교육 과정에 실효성 있는 금융 교육 신설에 대한 강력한 요구가 있는 상황”이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박 매니저는 금융과 재테크에 대한 청년 인식에 대한 자체 조사결과 자산형성을 위해 어떤 교육이 가장 필요한가? 라는 질문에 10명 중 6명이 ‘중등 교육 과정 때부터 금융·경제 관련 공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집계는 지난해 11월 22일부터 30일까지 9일간 2030 청년 2083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했다.

16.9%에 달하는 청년들은 금융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16.2%가 사회 진입 초기 또는 입사 시 전반적인 경제·재무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 청년들을 위한 자산형성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주관식 자유 의견 문항에서도 다수의 청년들이 ‘청년들을 위한 금융 교육이 많아져야 한다’고 답했으며, 청년을 위한 다양한 적금·금융 상품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2030 청년의 주된 자산 증식 수단 조사 결과. ⓒ위클리서울/청년재단
2030 청년의 주된 자산 증식 수단 조사 결과. ⓒ위클리서울/청년재단

청년들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는 대부분이 주식 직접 투자 방법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동산, 가상화폐, 펀드, 파생상품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선 주식 직접투자에 대해 가장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불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금융상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다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59.6%의 청년들이 현재나 과거 대출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직장인에 비해 직장인의 대출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대출 규모는 1000~5000만 원이 15.1%로 가장 많았고, 200~500만 원(8.7%), 5000만 원~1억 원(8%), 500~1000만 원(7.5%) 등도 다수를 차지했다.

대출이 필요하거나 대출에 큰 부담을 느끼는 청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제도는 채무조정제도의 확대(56%)를 꼽았다.대출 및 부채에 대한 청년 맞춤형 교육과 상담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19.3%를 차지했다.

이들의 주된 대출 요인으로는 주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세헌 청년재단 정책기획팀 매니저는 “올해 기준 청소년들의 금융이해력 평균 점수가 낙제 기준 점수인 60점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청년들을 대상으로한 실효성 있는 금융·경제 교육 과정 편성이 필요하다”며 “청년들을 위한 채무조정제도를 확대하는 한편 불법 대출 관리와 감독강화가 동반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