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정부 지원정책 속 FDI 참여 가능할 듯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인도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인도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은 32억 달러(4조 3000억 원) 수준으로 최근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11.2% 초과가 예상되며 2028년에는 52억 7000만 달러(7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ESS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홍콩이 11%, 한국 7% 수준으로 3위권인데 우리나라의 대인도 수출은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에선 구자라트(Gujarat) 주에서 독립형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시범 프로젝트(BOO, 민간투자방식)를 비롯, 라자스탄(Rajasthan) 지역 250㎿ 용량의 그리드 연결 독립형 배터리 저장시스템 설계, 엔지니어링, 제조, 공급, 포장 및 운송, 하역, 보관, 설치 등의 프로젝트도 추진될 예정이다. 이 지역에선 독립형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BESS)이 BOO 방식으로 착공할 예정이기도 하다.

다양한 정부 지원정책도 해외국의 진출에 긍정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지난 9월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BESS) 개발 지원을 위한 갭 펀딩을 승인했다. 이 계획은 오는 2031년까지 4000㎿ 규모의 BESS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본 비용의 최대 40%를 실행가능 갭 기금(VGF)의 형태로 지원하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타당하지만 재정적 실행 능력이 일부 부족한 인프라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의 현지화 목적으로 첨단 화학전지(ACC) 배터리 저장에 관한 국가 프로그램에 따라 24억 9000만 달러가 할당되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은 특별한 기술조건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수혜 기업은 목적에 맞는 셀 제조시설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첨단 기술과 해당 플랜트 및 기계, 원자재 및 기타 중간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2025년 6월까지 시운전되는 배터리 저장 및 펌핑 수력 시스템에 대한 주 간 송전 요금도 면제되는데 이로 인해 원활한 전력 공급도 가능해졌다.

KOTRA 관계자는 “인도의 ESS 시장은 재생에너지 산업과 연계돼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며 “외국 기업은 2003년 전기법에 따라 자동 경로를 통해 최대 100%의 외국인직접투자(FDI)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만큼 성장하는 인도의 ESS 시장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태양광 셀 시장 성장세가 가파르다는 점도 우리 기업의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인도는 장기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늘리려고 하고 있지만 높은 화석연료 발전 비중으로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인도 정부는 전력난 타개의 일환으로 태양광 설비에 투자하고 있다. 2016년부터 50GW에 해당하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했으며, 2031년이 되면 태양광 발전용량이 333 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인도는 송배전 손실률이 높아 전력이 효율적으로 공급되지 못해 만성적인 전력난으로 자주 전기가 끊기며, 상업용 건물과 고급 주거지역은 이를 대비한 백업 전력 설비(UPS)를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도의 높은 송배전 손실을 해결하기 위해선 송배전망 인프라 구축과 에너지 저장장치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러한 분야의 우리 기업 진출이 유망할 것이라는 조언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