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혐오성 발언 박민영 대변인…“징계는 못할망정”

국회의사당 본관 계단 앞에서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하는 모습 ⓒ위클리서울/하원휘 기자
국회의사당 본관 계단 앞에서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하는 모습 ⓒ위클리서울/하원휘 기자

[위클리서울=정상훈 기자] 장애혐오성 발언을 한 박민영 국민의힘 미디어대변인을 두고 장동혁 당 대표가 사표를 반려한 것에 대해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징계를 하지는 못할망정 반려를 하냐”고 비판했다.

19일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관 계단 앞에서 열린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오체투지 선포 기자회견’에서 박주민 의원은 “국민의힘 대변인이라는 자가 버젓이 장애인을 비하하고 모욕하는 모습을 제 눈으로 보고 귀로 들었다. 상상도 못할 일”이라며 “바로 잡힐 줄 알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당 대표는 징계를 하지는 못할망정 사표를 반려하며 ‘꼬리 잘라서 뭐 하겠냐’는 발언을 하더라”라며 “그러면 그 몸통은 누구냐. 장동혁 대표인가. 이런 문화, 이런 태도는 바뀌어야 된다”고 지적했다.

앞선 12일 박민영 대변인은 유튜브 ‘감동란TV'에 출연해 비례대표 재선이자 시각장애인인 김예지 의원에 대한 공천이 부당하다며 “장애인 할당이 너무 많다”, “눈이 불편한 것을 제외하면 기득권”, “배려를 당연히 여긴다” 등의 발언을 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김예지 의원은) 당론을 제일 많이 어긴다. 배은망덕하다”, “김예지는 쌍욕이 안 나올 수가 없다”, “말 같지도 않은 비례대표 재선 결과로 들어온 주제에 ‘3대 특검’ 다 찬성하고 지금 사과 한마디 없다” 등의 망언을 이어갔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 페이스북 ⓒ위클리서울/페이스북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 페이스북 ⓒ위클리서울/페이스북

발언이 공론화 되자 박민영 대변인은 SNS를 통해 “장애인 할당이 많다는 주장은 국회 전체가 아닌 국민의힘 비례대표 중 당선권에 장애인이 3명이나 배정된 점을 지적한 것이고, 피해의식이라는 표현은 김예지 의원이 논란이 된 법안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장애인이고 여성이기 때문에 더 공격을 받는다는 취지의 주장에 부적절성을 지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문제는 박민영 대변인의 사의 표명에 대해 장동혁 당 대표가 이를 반려하고 ‘엄중 경고’ 처분만 내렸다는 것이다.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당사자가 일단 사과를 했고, 이 부분에 대해 반성도 하고 있기 때문에 사의를 받아들일 정도의 단계는 아니지 않는가”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보는 이들의 시선은 달랐다. 기자회견에서 김남연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장은 “장애인 차별을 철폐해야할 정부 관계자들 중 야당 대변인이 장애인 국회의원을 비하하는 발언을 했다. 국회의원은 우리들의 대표”라며 “이게 무슨 야당의 대변인이냐. 말도 안 되는 짓을 하고 있다. 용서되지 않는다”고 소리쳤다.

지난 18일 김예지 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두고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는 이유로 박민영 대변인을 고소하기도 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오체투지 선포 기자회견에서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위클리서울/하원휘 기자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오체투지 선포 기자회견에서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위클리서울/하원휘 기자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선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 실행예산 보장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3000명 확대 ▲사회적 참사 예방을 위한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확대가 요구됐다. 김예지 의원은 “저도 야당이지만 (장애와 관련된 정책에) 여·야가 어디있겠냐”라며 “끝까지 여러분과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소통관을 향한 김예지 의원은 ‘당사자에게 사과나 메시지를 전달받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받은 바 없다”고 답했다. 또, 손언석 원내대표가 혐오 발언을 두고 ‘자그마한 일’이라고 칭한데 대해서는 “갑작스러운 질문에 당황해 경황이 없어서 그렇게 얘기하셨던 것이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이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