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등 시민사회,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에 전면전 선포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에서 인터넷 및 전화 등을 개통·수리하는 노동자들이 전면파업에 돌입한지 두 달이 돼간다. SK 브로드밴드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노숙농성도 80일을 넘어서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민사회가 원청인 SK브로드밴드·LG U+에 통신 대기업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을 비롯한 시민사회·종교·학계 단체들은 “진짜 사장 SK-LG가 간접고용 비정규직 문제 해결하라”며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은 “재벌 순위 3~4위인 국내 굴지의 통신사에서 일하는 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지난해부터 투쟁을 벌여오는 동안 수차례 끌려 나가고, 222명이 연행되고, 2명(LG유플러스 1명·SK브로드밴드 1명)의 노동자가 구속됐지만 거대재벌 진짜사장들은 여전히 사용자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이번 주말까지 비정규직 현안을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가 가진 모든 힘과 수단을 동원해 전방위적인 전면전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어 “사측은 일방적인 업무 불이익, 표적탄압, 업체변경 과정에서 조합원 대량해고 등 온갖 부당노동행위를 서슴치 않았다”며 “우리는 그룹 모토인 윤리경영과 정도경영을 거스르는 간접고용 비정규직 양산과 노조 탄압을 일삼아온 SK그룹과 LG그룹에 즉각 노조 탄압을 중단하고 노조가 제안한 3자 협의체 교섭을 받아들일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속해 있는 희망연대노조 SK브로드밴드 비정규직지부와 희망연대노조 LG유플러스 비정규직지부는 업체변경 시 고용승계, 재하도급 금지, 업무 프로세스 개선, 노동시간 단축 등의 요구안을 들고 1년 여 가까이 협력사대표단과 교섭위임단체인 경총과의 집중교섭을 가져왔다. 하지만 실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원청인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가 빠진 교섭은 파행을 거듭하다 결국 결렬된 상태다.




# 남산 sk브로드밴드 본사 앞에 모인 노동자들


이에 지난 6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SK그룹 본사건물에 진입해 “원청이 직접 나와 대화할 것”을 촉구하며 면담을 요청했으며 이 과정에서 222명이 강제 연행되고, 3명의 노조 간부에게 구속영장이 청구, 이 중 1명의 간부가 구속되기까지 했다.

지난 15일 오후에는 ‘비정규직 양산정책 폐기! SK재벌 비정규직 현안 해결! 민주노총 긴급 결의대회’가 SK텔레콤 앞에서 열렸다. 결의대회에 참가한 노동자들은 “1주일이면 60~70시간을 일했다. 점심시간도 없이 뛰었지만 한 달에 고작 2~3일밖에 쉬지 못했고, 회사는 업무비용까지 우리에게 떠넘겼으며 회사 멋대로 평가해 급여를 차감했고, 이 일자리조차 잃을까봐 매년 고용 불안에 떨어야 했다”며 “우리의 진짜 사장은 과연 누구인가. 더 이상 주인도 모르는 노예로 살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SK브로드밴드의 옷을 입고 SK브로드밴드의 지시에 따라 텔레비전과 인터넷·전화를 설치하고 수리하는 일을 하는 87개의 행복센터 기사들과 LG유플러스 70개 고객센터 3000여 명의 노동자들은 하청노동자다. LGU+서비스센터에는 외근기사 2000여 명과 내근직 1000여 명 등 총 3000여 명의 노동자들이 일을 하고 있다. 전국 70개의 고객센터는 위로는 원청과, 아래로는 중간업체와 하도급 계약을 맺고 있다.

SK브로드밴드 역시 전국 91개 센터가 위로는 원청과, 아래로는 중간업체와 도급계약을 체결한다. 이곳에도 내근직 1500여 명과 외근기사 3000여 명이 일을 하고 있다. 개통, 철거 기사들은 개인사업자 형태나 소사장제 형식으로 개별 도급계약을 맺고 있다. 이 같은 다단계 하도급 구조 때문에 위장도급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공민재 기자 selfconsole@naver.com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