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규 지음/ 김영사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직종은 공무원이다. 2018년 3월 현재 공무원 시험 준비생은 44만 명에 달하고, 같은 해 6월에 실시한 서울시 9급 보건직 공무원 채용 경쟁률은 135대 1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조선 시대 공무원의 인기가 지금보다 높았다. “예컨대 1796년(정조 20년) 이황의 학덕을 기리고자 실시한 도산별과 과거에 7천 명이 넘는 인원이 응시했는데, 급제자는 단 2명에 불과했던 것이다.”(15~16쪽) 도대체 무슨 특전이 주어졌기에 관리의 인기가 이토록 높았을까? 왕조 국가 조선에서 관청의 위상이 어느 정도였으며, 관리들은 관청에서 무슨 일을 했던 것일까?

300만 베스트셀러 ‘한 권으로 읽는 역사’ 시리즈를 집필한 역사 저술가 박영규는 신간 《조선관청기행》에서 500년 왕조의 국가 경영 시스템을 낱낱이 살핀다. “국가를 사람의 몸에 비유한다면 관청은 인체를 지탱하는 골격에 해당합니다. 조선이라는 국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선의 행정 조직, 즉 관청을 알아야 합니다.”(4쪽) 이 책은 왕조 국가 조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조선의 행정 조직과 관직 체계를 국내 최초로 일괄한 ‘조선 관청 사전’이다.

정무를 관장한 일곱 재상의 최고 관청 의정부, 출세의 요직인 왕의 공식 비서실 승정원, 인사권을 쥐어 ‘하늘이 내린 관직’[天官]이라 불린 이조, 국가의 학문을 책임진 홍문관, 궁궐의 여성 공무원 전담 관청 내명부까지, 조선 왕조의 골격을 행정부터 입법․사법까지 명쾌하게 정리하여 조선의 권력 지도를 한 권으로 완결했다. 일인지하 만인지상을 두고 펼쳐진 조선 문무 엘리트의 열망이 책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과 왕조 국가 조선은 정치의 기본 원리는 다르지만, 큰 줄기는 같다. 권력을 정당화하여 영토와 인구를 통치하는 ‘국가’라는 점이다. 국가는 추상적인 힘인 권력을 제도로 구체화하는데, 국가가 자신을 유지하기 위해 만든 제도가 바로 행정 조직이다.

행정 조직은 관공서, 곧 관청이다. 우리가 관청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이것이 조선 500년 역사를 꿰뚫는 근간이기 때문이다. 문무 관리와 이들을 보필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조선을 지탱하고 운영하고 통치해왔다. 이 책에는 실록사가로서 저자의 치밀한 분석과 고증, 역사 대중화의 기수로서 통찰력 있는 해석과 풍부한 사료가 담겨 있다.

관청이 어떤 방식으로 설계되고 관리들이 어떻게 일했는지 살펴보면, 조선을 500년 동안 이끈 국가 경영 시스템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조선관청기행》은 조선의 행정 조직과 관직 체계를 속속들이 밝혀 조선의 숨겨진 실상을 생생히 그려낸다. 이 책이 관청을 다룬 역사책 한 권 없이 조선의 실체를 이해하려고 애쓰며 불편을 겪은 역사 독자들에게 최초의 수준 높은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