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무의 풀어쓰는 다산이야기]

한 인간이 어떤 목표를 세우고 그가 뜻하는 바를 성취해내는 과정에는 꼭 한마디의 ‘키워드’가 있기 마련입니다. 율곡은 젊은 날에 불교에 심취하여 금강산으로 입산하여 불경을 연구하다 다시 속세로 돌아와 「자경문(自警文)」을 지어 “필이성인자기(必以聖人自期)”라고 다짐했습니다. ‘반드시 성인이 되겠다고 스스로 기약했다.’라는 뜻인데 성인이라는 목표에 도달하려는 온갖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자신의 각오였습니다.  

 

박석무
박석무

쿠바의 카스트로와 함께 혁명을 마치고 남미로 들어간 게바라는 “모든 것은 끝났다. 오늘부터는 새로운 무대가 전개된다(All is over. New stage begins today.).”라는 새로운 혁명의 목표를 정했다는 것을 선포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할 일에 대한 새로운 다짐을 굳게 했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인권운동가였던 목사 마틴 루터 킹은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라는 희망의 말을 던지고 흑인인권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자신에게 다짐하는 그런 상징어를 내걸고 목표 달성에 매진하여 소기의 목적에 도달했음을 역사를 통해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다산은 아들들에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에 

“너희는 지금 폐족이다(汝今廢族).”라는 화두를 던지고 그대로 그냥 세월이나 보내면 폐족에서 벗어날 길이 없지만, 폐족이 폐족에서 벗어나 청족(淸族)이 되려면  “오직 독서 한 가지 일일 뿐이다(唯讀書一事是已).”라고 말하여 폐족인 자신과 아들들이 폐족에서 벗어나 청족이 되려는 목표를 세우고 18년의 유배살이를 했습니다. 

1801년 40세의 나이로 폐족이 되어 귀양살이로 18년을 보내고, 해배 후 복권되지 않은 상태로 또 18년을 보낸 뒤 75세로 세상을 떠난 다산, 폐족을 벗어나려고 밤낮으로 쉬지 않고 독서와 연구를 통해 500여권의 책을 저술했습니다. 아버지의 뜻에 따라 청족이 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던 정학연·학유 두 형제도 열심히 책을 읽고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학연은 70에 이르러서야 벼슬에 오르면서 마침내 폐족을 면하고 청족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만약 남들이 자기와 자기 자식들에게 “당신들은 폐족이니 이제는 끝장이오.”라고 했다면 견디기 어려운 불명예에 마음이 아파 행여 엉뚱한 절망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자신과 자기 아들들이 폐족이라고 스스로 인정하면서도 어떻게 해야 폐족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찾을 수 있는지 한없이 애태웠던 덕택으로 다산 집안은 폐족에서 벗어났고 또 세계적인 학자와 사상가의 지위를 얻어 인류 모두의 추앙을 받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불행한 현실을 현실대로 인정하면서, 그러한 처지와 환경에서 탈피하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실천할 때에만 불행한 현실을 극복해낼 수 있다는 것을 다산이 취했던 삶의 자세에서 귀감을 삼을 수 있습니다. 극한의 불행에서 좌절하고 포기해버리면 영영 끝입니다. 실천이 가능한 일을 찾아 꾸준히 이끌고 갈 때에만 해결의 실마리가 풀릴 수 있습니다. ‘독서 한 가지만이 폐족에서 벗어나는 길이다.’라는 다산의 말씀은 그래서 더욱 울림이 큽니다. 진짜 어려움에 봉착한 사람들, 당장의 불행에 못 견디는 고통을 이기고 책 읽는 일로 돌아가 조금 더 긴 세월에 희망을 걸어보면 어떨까요. 너무 어려운 사람들이 주변에 많아 해보는 말입니다.

<다산연구소 http://www.edasan.org/ 제공>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