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윤영 지음/ 철수와영희

[위클리서울=이주리 기자] 이 책은 광화문 광장, 용산과 이태원, 북촌과 서촌, 강남 개발, 남영동 대공분실, 와우아파트와 삼풍백화점, 철거민과 스쾃운동, 도시화 등 열 가지 건축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한국 현대사를 쉽게 알려주고 있다.

일제가 세운 건물에는 공통점이 있다. 정치를 장악하기 위해 경복궁 앞에 조선총독부를 세우고, 군사를 장악하기 위해 남영이 있던 자리에 일본군을 주둔시키고, 문화를 장악하기 위해 남산 국사당이 있던 자리에 조선신궁을 세우고, 경제를 장악하기 위해 종로의 육의전과 시전을 대체하는 조선은행과 백화점을 명동에 세웠다.

해방 이후 급격한 근대화 과정을 거치던 1970~1990년대 우리나라에는 두 번의 큰 건축물 붕괴 사고가 있었다. 1970년의 와우아파트 붕괴와 1995년의 삼풍백화점 붕괴다. 경제 개발 과정에서 국가 권력과 자본의 욕망으로 일어난 총체적 부실 시공 등이 원인이었다.

우리나라에 임대 아파트가 지어지기 시작한 계기가 된 사건은 1987년 상계동 철거민 사태였다. 그전까지는 재개발 지역으로 정해져 철거가 시작되면 세입자를 위한 대책이 아무것도 없었지만, 상계동 사태를 계기로 세입자에게 임대 아파트 거주권이 주어지게 된다.

2009년 1월에는 철거민 5명과 경찰특공대 1명이 사망하고 23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용산 참사’가 일어난다. 전면 철거 재개발 사업의 폭력성으로 벌어진 비극이었다. 요즘에는 용산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 전면 철거 재개발 대신 도심 재생 사업을 실시하기도 한다. 원래 있던 집들을 허물지 않은 채, 낡은 집을 수리하는 자금을 지원한다든지, 골목길을 정비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면서 그 동네만의 특색을 살려 살기 좋은 동네로 다시 만드는 방식이다.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쫓겨난 사람들이 도심의 빈 건물을 점유하여 살아감으로써 이후 도심에 빈 건물이 있으면 정부나 지자체에서 그곳을 임대주택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오랜 기간 방치되었던 마포구의 석유 비축 기지도 예술가들의 스쾃 활동으로 문화 비축 기지로 용도가 바뀌어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건축은 돈이 많이 드는 작업이기 때문에 역사 속에서 권력과 자본의 시녀 노릇을 하는 경우가 많고, 가난한 사람은 항상 소외되곤 한다. 그런 점에서 상계동 사태와 용산 참사, 무단 점거와 스쾃은 의미 있는 저항운동이라 할 수 있다.

건축은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사람에 대한 따듯한 이해가 앞서야 한다. 건축은 당시 시대상과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봐야 한다.

한국 현대사를 건축으로 살펴본 이 책은 한국 현대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건축의 바람직한 역할이 무엇인지, 건축이 권력자들에게 의해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건축가가 되고 싶거나 건축이 무엇일까 궁금한 청소년들에게 건축을 이해하는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