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창출원 한정 속 실적 개선 취지...포스코이앤씨 1위 무난할 듯

포스코이앤씨의 수원 영통 벽적골 주공8단지 리모델링 사업 조감도 위클리서울/포스코이앤씨
포스코이앤씨의 수원 영통 벽적골 주공8단지 리모델링 조감도 ⓒ위클리서울/포스코이앤씨

[위클리서울=이호재 기자] 주택 신규 수요 감소와 고금리 여파로 불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주요 건설사들이 도시정비사업으로 활로를 뚫어나가고 있다.

포스코이엔씨의 경우 수주액 4조를 넘기며 타사를 압도하고 있는데 올해를 한달 여 압두고 1위 수성이 무난해 보인다.

본지 조사 결과 10대 건설사의 올해 도시정비 수주내역은 포스코이앤씨가 4조3158억 원으로 1위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건설이 1조 8820억 원으로 2위를 점유하고  GS건설 1조 4488억 원, 삼성물산 1조 4130억 원이 뒤를 이었다. 이어 DL이앤씨가 1조1824억원으로 5위, 그 다음으로 대우건설이 1조1154억원을 달성했다. 롯데건설이 5173억원, 현대산업개발은 1794억을 차지했는데 호반건설과 SK에코플랜트는 올해 해당 사업 실적이 전무했다.

포스코이앤씨는 10월 21일 서울 성북2구역과 광주 양동3구역 재개발 등을 동시에 수주하면서 현재까지 총 4조 3158억원 규모의 실적을 거뒀다. 2위 현대와는 무려 2조 원 이상 차이를 보였다.

2위를 차지한 현대건설은 대우건설, 두산건설, 한신공영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청주 사모2구역 재개발을 수주했다. 현대 지분율은 27%이며 공사비는 1조 1200억 원으로 지분율에 따른 현대의 실적은 약 3020억 원 수준이다. 이로써 누계 약 1조8820억원을 돌파했다.

GS건설의 경우 상계주공단지 재건축, 안산 선부연립1구역, 청량리 6구역, 대전 삼성5구역 등 4개를 수주해 누계 1조4488억 원을 차지했다. 검단 아파트 단지 사고 같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7월 대전 삼성5구역, 최근 가락프라자 재건축사업 수주를 따내는데 성공했고 사운을 걸고 도전하는 노량진1구역 재개발 사업도 수주를 딸지 귀추가 주목된다.

삼성물산은 지난 3분기 송파구 가락상아2차, 울산 중구 B-04구역 등에 대한 리모델링·재개발 사업에 참여하며 전년동기 대비 72.9% 오른 1조 4130억 원의 실적을 냈다. 도시정비사업에서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그리며 제2의 캐시카우 확보에 전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DL이앤씨는 도시정비사업에서 현재까지 1조 1824억 원을 수주했다. 지난해 도시정비 수주 실적인 총 4조 8943억 원과 큰 차이가 난다. 세부적으로 1월 강북5구역 공공재개발(3151억원), 3월 광명3동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1611억원), 6월 시흥은행1구역 재개발(1661억원), 7월 중동5구역 재개발(5401억원) 등이다. 마지막 수주가 약 3개월 전이다.

대우건설은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 1조 원이 넘는 수주 실적을 올렸다. 3년 연속 1조 원 이상의 수주고를 올렸지만 올해는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 대비해 선별수주에 주력했다. 올해 수주한 주요 도시정비사업과 금액은 신정4구역 재건축 5922억 원, 구로보광아파트 재건축 2431억 원, 청주사모2구역 2801억 원이다. 

지난 10월 21일 청주사모2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시공사로 선정되면서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이 1조 1154억 원을 넘어섰다. 대우건설의 지분율은 25%다.

롯데건설은 수주액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올해 청량리 제8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잠실미성크로바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2개 사업지에서 총 5173억원을 수주했는데 전년 동기(3조6914억원) 대비 85.98% 감소했다.

현대산업개발은 전년 동기(3조 6914억원) 대비 85.98% 감소했다. 최근 서울 영등포구 삼성아파트 재건축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지만 단 1건으로 1794억에 그쳤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10대 건설사 가운데 수주 공시에 불참한 호반건설을 제외한 9개 대형 건설사의 올 3분기 도시정비사업 누적 수주액은 총 11조 7705억 원으로, 전년 동기(26조6,596억 원)와 비교해 55.8% 줄었다. 이처럼 대형 건설사들의 리모델링 수주 실적이 줄은것은 내수 침체와 고금리 장기화가 맞물리면서 공사비가 오르자 사업 참여에 부담을 느낀 탓이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