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무의 풀어쓰는 다산이야기>

 

▲ 박석무

『논어』의 높은 가치를 어떤 이 몇 마디의 말로 표현할 방법이야 없지만
“법제로써 백성들을 인도하고 형벌로써 규제한다면, 백성들은 법망에서만 벗어나면 수치심을 느끼지 못한다. 덕으로써 백성들을 인도하고 예로써 규제한다면 백성들은 수치심을 알게 되고 감화를 받게 된다(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爲政편)”라는 대목을 읽어보면 과연 공자는 성인임에 분명하다는 탄식을 금할 수 없게 해줍니다.
 
나라의 통치란 법과 형벌로 하지 않으면 통제할 방법이 없다고 여기는 보편적인 상식에서 벗어나 법과 형벌보다는 덕과 예로 백성들을 보살펴줄 때 인간이 수치심을 느끼며 덕과 예에 감화되어 아름다운 질서를 회복하는 세상이 된다는 공자의 뜻에 동의하지 않을 사람이 없습니다. 공자의 정치철학의 핵심이 어느 정도로 높은 수준에 이르렀던가를 짐작할 수 있는 한 대목을 고르라고 한다면 위의 글귀가 아니고서 다시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습니까.
 
공자의 세상에서 2,500년이 지난 오늘에 이르러 감화되어, 부끄러운 수치심을 지닌 사람은 찾을 길이 없고 이제 대부분 인간의 심장에는 잡초가 무성하여 아무리 못된 짓을 행하고 아무리 큰 죄악을 저지르고도 전혀 부끄럽게 여기지도 않고 수치심을 느끼는 사람조차 없는 세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얼굴에다 철판을 깐 철면피의 인간이 아니고는 높은 지위에 오르지도 못하고, 고관대작의 직책을 얻을 수도 없는 세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아무리 큰 범죄를 저지르고도 죄를 지은 일이 없다고 끝까지 부인하다가 용케 법망에서만 빠져나가면 만사가 해결되었다고 여기기 때문에 죄를 짓고 잘못을 느끼며 부끄러움을 못 이겨 사죄하고 반성하여 뉘우침을 보이는 사람도 없어져 버렸습니다.
 

▲ 다산 정약용

다산은 『논어고금주』라는 『논어』해석서에서 공자의 위 문장을 깊이 이해하며 찬탄을 금하지 못하고, 『예기』라는 경전을 인용하여 
“대저 백성을 덕으로써 가르치고 예로써 규제하면 백성에게는 감화하는 마음이 있지만, 법제로써 가르치고 형벌로써 제재하면 백성은 도망칠 마음만 생긴다.(夫民 敎之以德 齊之以禮 則民有格心 敎之以政 齊之以刑 則民有遯心)”라고 설명하고는 격심(格心)이란 감화하는 마음이지만 둔심(遯心)이란 죄를 피해 도망치는 마음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요즘 세상에는 덕과 예가 사라져 오직 ‘법꾸라지’라는 별명의 인간들이 판치고 있습니다. 공자와 다산의 말씀대로 법망에서 미꾸라지처럼 빠져만 나가면 아무리 큰 죄악을 짓고도 전혀 부끄러운 마음이 없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덕례도 도의(道義)도 사라진 오늘, 얼굴에 철판을 깔고 재물과 권력만 추구하는 세상, 그래서 재물을 얻고 권력을 쥐게 되면 만인의 존경을 받고 큰소리치며 살아가는 세상이기 때문에 수치심은 인간의 마음에 자리할 곳이 없고 말았습니다.
 
온갖 악행을 저지르며 국정농단에 깊이 관여하고도 법의 허점을 악용하여 구속을 면한 사람이 버젓이 행세하고 살아가는 세상을 보면서 공자의 말씀을 되새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산연구소 http://www.edasan.org/ 제공>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